파이썬 공부에 앞서 아래 두 가지 개념을 알고 있어야 한다.
- 컴퓨터 프로그램 (소프트웨어)
- 프로그래밍 언어 (코딩언어)
코드를 입력하면서 중요한 것은 논리적으로 이해하는 것도 있지만 [관찰]이 중요하다.
print() 출력 명령문
- print 안에는 하나 이상의 다양한 속성의 객체와 츨력 가능하다.
- ( ) 안에서 연산 가능한다.
- 속성이 다른 두 개 이상의 객체를 ‘ , ‘를 기준으로 출력 가능하다.

컴퓨터에는 cpu(계산)와 메모리(저장)가 있다.
명령을 내리면 cpu가 계산을 하는데 cpu는 메모리 안에 있는 값만 계산을 진행한다.
따라서 파이썬은 코드를 작성하면 [코드]는 메모리에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컴퓨터 입장에서 명령어가 메모리에 저장되는 과정을 보면
val = 30
램에 값 “30”을 메모리에 저장하고 “val” 이름표를 메모리에 붙여준다.
값이 저장된 메모리에 “이름표”를 붙여주는 이유는 저장된 메모리를 가져다 쓰기 위함이다.
x = 100 x = 3.14 x = “Hi~” print(x) >> Hi~

메모리 공간에는 반드시 하나 이상의 “이름표”가 필요하다.
이름표가 없어진 메모리는 (언젠가) 없어진다.
변수에 대한 논리적인 이해
앞으로 우리는 [변수 선언]이란, 메모리에 값이 저장되고 변수라는 이름표가 붙었다고 이해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