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개는 대면으로 하자
정해야 할 것
- 스터디 요일 ( 일요일 )
- 스터디 진행 방식
- 책 읽기는 미리
- 질문도 미리 (깃허브 레포에 매주 한 개 이상 질문을 만들어서 PR 날리기)
- 토론하는 스터디를 만들자
- 예제 문제 풀어오고 어떻게 풀었는지 공유해보자
- 발표준비 하기
- 요약을 하더라도 자기만의 언어로 다시 요약하기 (책 내용 요약은 좋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 책을 읽으면서 하나의 주제에 꽂혀서 그 주제에 대해서 공부해오고 자료를 찾아보고 그거 하나만 발표해도 됨
- 책을 아무리 읽어도 이해가 안가는 부분이 있었는데 그거에 대해서 발표해도 됨
- 자랑해도 됨
- 코드로 문제 만들어와서 문제내도 됨
- 회사 코드에 적용해서 가져와도 됨
- 코드 짜와도 됨
- 발표할 내용이 없으면 한 주 동안 뭐했는지 발표해도 됨
- 그냥 책읽다가 갑자기 다른 프로그래밍 개념에 대해서 발표해도 됨
- 진행 시간
- 스터디 규칙
- 적극적인 소통 (잠수 x)
- 싸우지 말기, 욕하지 말기
- 지각 가능, 결석 가능 (말만 하기)
- 스터디 기한 8주 + 4주 공부하고 한 주 쉬어가기
- 재밌는 스터디 만들어 보기
- 예전에 리액트 네이티브 스터디를 했을 때 아이스브레이킹을 위한 게임을 하나씩 준비해오고 30분정도 했었는데 좋았던 경험이 있음
- 발표는 어떻게 해야 할까
- 매주 발표를 두명씩 하기로 했는데 두명은 내용도 겹치고 의미가 없지 않을까 생각이 들었음. 논의해보기,
- 벌금같은거 없음!
- 어렵지 않은 스터디를 만들자
- 그렇다고 책만 읽고 요약하고 발표하는 스터디는 하지 말자
준비물
쏙쏙 들어오는 함수형 코딩

(https://product.kyobobook.co.kr/detail/S000001952246)
e-book 상관 없음
진도
크리스마스, 설날은 어떻게 할 것인지 이야기 나눠 보기
- 1주차 : 1 ~ 5 날짜 : 11월 12일 발표자 : 비밀
- 2주차 : 6 ~ 7 날짜 : 11월 19일 발표자 : 비밀
- 3주차 : 8 ~ 9 날짜 : 11월 26일 발표자 : 비밀
- 4주차 : 10 ~ 12 날짜 : 12월 3일 발표자 : 비밀
- 5주차 : 13 ~ 14 날짜 : 12월 10일
- 6주차 : 15 날짜 : 12월 17일
- 7주차 : 16 ~ 17 날짜 : 12월 24일
- 8주차 : 18~19 날짜 : 12월 31일
스터디의 최종 목적은 성장이다.
어떻게요?
책 한권 읽은것도 성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