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2 (작성중)

이짜젠·2025년 4월 13일
0

MCP가 핫하다.
AI를 이용해서 다양한 작업들을 손쉽게 하기 위해 등장한 개념인데, 사용해보기전에 관련된 개념들을 간단하게 검토해보자.

Generative AI

  • 컨텐츠를 생성할 수 있는 AI

모든 AI가 생성형 (Generative AI) 으로 볼 수 있는거 아닌가?
아니다. 알파고가 마치 다음수를 생성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바둑돌을 둘 수 있는 정해진 틀 안에서 최적의 수를 분석해서 "선택"할 뿐이지,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한다고 볼 수 없다.

  • 크게 분석형, 판별형, 생성형으로 볼 수 나눌 수 있을 듯,
    • 생성형은 아애 무에서 유를 창조해야 한다.
    • 다만 현대 AI 시스템은 이런 구분이 점점 모호해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크게 연연하지말자.

Large Language Model

  •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들을 사전에 학습한 AI
  • 사람의 언어를 학습했기떄문에 우리말로 편하게 물어보고 답변을 얻을 수 있다.
  • 답변이라는 형태로 새로운 컨텐츠를 생성하기때문에 Gerneatve AI의 한 부류라고 생각할 수 있다.
  • ChatGPT, Claude 우리가 사용하는 챗봇들은 전부 LLM 기반이다.
    - 챗봇: 대화형 인터페이스를 가진 프로그램
    • LLM: Chatbot 내부의 두뇌역할
      • ChatGPT 챗봇의 LLM: GPT-3.5, GPT-4, GPT-4o ....
      • Claude 챗봇의 LLM: Claude 3.7 Sonnet ...

Model Context Protocol

Reference

profile
오늘 먹은 음식도 기억이 안납니다. 그래서 모든걸 기록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