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Looping
- 폴트 톨러런트
- 로드 밸런싱
브리지나 스위치에서 자주 발생하는 현상.
이더넷 특성상 네트워크가 조용해야 다른 PC들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특정 이유로 네트워크상에서 무한정으로 프레임이 뱅뱅 돌면, 다른 PC들이 네트워크가 조용해지기를 기다리기만 할뿐 데이터 전송은 불가능해지는데 이를 루핑이라고 한다.
아래 이미지를 보자
두 호스트 사이에 스위치가 두 개 있다.
즉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개 이상 만들어진다.
보통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하나의 경로가 끊겨도 다른 경로를 쓰기 위함이지만, 루핑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예시를 보자
호스트 A가 브로드캐스트 패킷을 보낸다.
그럼 양쪽 스위치로 전달될 것이다.
두 개의 스위치는 이 패킷을 받은 후 분석한다.
이 패킷이 브로드캐스트 패킷임을 알아낸 스위치는 Flooding(플루딩)을 하게된다.
그럼 상대방쪽 세그먼트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보내지고, 양쪽 스위치에서 모두 패킷이 다리를 건너게 된다.
그 다음엔 반대쪽으로 건너간 브로드캐스트 패킷은 다시 양쪽 스위치의 아래쪽 포트로 전달되고, 이 패킷 역시 스위치 특성에 따라 다시 위로 전달된다.
이러한 과정이 반복되면 한 번 발생한 브로드캐스트 패킷이 양쪽 스위치를 통해 네트워크를 계속 뱅뱅 돌게 되는 루핑이 발생한다.
자동으로 루핑을 막아주는 알고리즘인 스패닝 트리 알고리즘 (Spanning Tree Algorithm)을 사용한다.
네트워크상에 어떤 문제가 발생할 때를 대비해서 미리 장애 대비를 해놓는 것.
로드를 분산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