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스위치
- 브리지
- 스위치와 브리지의 기능
허브는 1번 포트에 연결된 PC와 2번 포트에 연결된 PC끼리 통신하면 나머지 모든 PC들은 그 통신이 끝날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그러나 스위치는 1번과 2번이 통신하고 있어도 3번과 4번이 서로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게 하는 장비이다. 이를 "포트별로 콜리전 도메인이 나뉘어 있다." 라고 한다.
즉 각각의 포트에 연결된 PC가 독자적으로 10Mbps 또는 100Mbps의 속도를 갖는다.
허브에 비해서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법이 우수하고 데이터의 전송 에러 등을 복구해 주는 기능 등 여러 기능이 있다.
허브를 사용할때 네트워크 규모가 커지면 커질수록 콜리전 문제가 심해질 것이다.
브리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콜리전 도메인을 나눠준다.
허브로 만들어진 콜리전 도메인 사이를 반으로 나누고 중간에 다리를 놓는다.
다리 남단의 PC끼리 서로 통신하는 사이에 다리 북단에 있는 PC끼리도 통신할 수 있는것이다.
브리지와 스위치는 비슷한 기능을 한다.
브리지가 스위치보다 먼저 나왔다.
브리지나 스위치는 자신의 포트에 연결된 PC가 통신을 위해 프레임을 보내면 그 PC의 맥 주소를 읽고 자신의 "맥 어드레스 테이블(브리지 테이블)"에 저장한다.
나중에 어떤 PC가 통신을 할 경우에는 Learning을 통해 저장된 자신의 브리지 테이블을 참고해서 다리를 건널지 말지를 결정한다.
들어온 포트를 제외한 나머지를 모든 포트로 뿌리는 것을 의마한다.
들어온 프레임이 찾아가는 주소가 브리지 테이블에 없다면 다시 말해 이 주소가 다리를 건너야 하는지, 아니면 안 건너도 되는지를 알지 못한다면 나머지를 포트로 뿌려준다.
Flooding은 브로드캐스트나 멀티캐스트의 경우에도 발생한다.
브리지가 목적지의 맥 주소를 자시느이 브리지 테이블에 가지고 있고, 이 목적지가 출발지의 맥 주소와 다른 세그먼트에 존재 할때 일어난다.
즉 목적지가 어디 있는지를 알고 있는데 그 목적지가 다리를 건너에 있을때 일어난다.
Flooding과 달리 오직 해당 포트쪽으로만 프레임을 뿌려준다.
브리지를 못 넘어가게 막는다는 것을 뜻한다.
브리지 테이블에 목적지 맥 주소가 들어있고, 출발지와 목적지가 같은 세그먼트에 있는 경우에 필터링이 되어 다리를 건너지 못하게 한다.
이러한 Filtering 기능 덕분에 허브와는 달리 콜리전 도메인을 나눌 수 있다.
말 그대로 나이를 먹는다는 뜻이다.
전에 Learning을 통해 브리지 테이블을 저장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를 저장할 수 있는 기간은 한정되어있기에 평생 저장할 수 없다.
그래서 브리지 테이블도 우리 두뇌처럼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나면 이 정보를 브리지 테이블에서 지우게 된다. 다시 새로운 맥 주소를 기억해야 하기 떄문이다.
Aging은 이것에 관련된 타이머이다.
즉 어떤 맥 주소를 브리지 테이블에 저장하고 나면 그떄부터 Aging이 가동되어 저장한 후 300초가 지나도록 더 이상 그 출발지 주소를 가진 프레임이 들어오지 않으면 브리지 테이블에서 삭제시킨다.
Aging타이머가 끝나기 전에 같은 출발지를 가진 녀석이 또 브리지로 들어오면 타이머를 리셋하고 처음부터 카운트를 한다.
이를 "Aging타이머를 리플래시 한다." 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