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백엔드의 원리를 아주 약간 맛봤다.
오랜만의 개념정립이라 약간 가벼운 마음이 있었던 듯!
어렵게만 느껴졌던 '백엔드'라는 용어도 원리를 이해하니 한결 쉽게 보여서 좋았다.
프론트앤드로만 나갈지 풀스택으로 갈지 아직도 고민인데,
오늘과 내일에 이어 배우는 내용을 통해 고민이 조금 풀리길 바라는 마음이다.
API를 백엔드에서 받아오는 방식으로 axios(rest-API)와 apollo-client(graphql-API)방식이 있는데, 전자는 CRUD(create, read, update,delete)를 주는대로 다 받아야 하는 반면, 후자는 CRUD(or Mutation & Query)를 원하는 값만 골라서 받을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전자보다 데이터 처리에 드는 비용을 훨씬 절약할 수 있어서 외국 회사들에서 하나씩 이 방식으로 바꾸고 있는 중이라고.
다행히 내가 배우는 과정은 후자에 대한 것이었다.
이 처리방식을 연습하기 위해 몇가지 알아야 할 사이트가 있다.
1. rest-API 방식
(2) Postman(어플)
(3) Swagger(example.codebootcamp.co.kr/api-docs)
2. graphql-API 방식
쉬운 듯 하면서도 막상 하다가 종종 막히는 부분이 있었던 듯 하다.
열심히 연습해서 내꺼로 빨리 만들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