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심히 따라가느라고 개요만 쓰고 있는 나란 존재...화이팅입니다!html을 통해 구조를 하드코딩하게 되면 그 단위는 페이지 단위가 됩니다.물론 별 기능이 많지 않은 앱을 구현한다면 html만으로 충분합니다.하지만 지금은 웹 페이지, 앱들은 10개 이상의 기능을 가진 것
closure란 mdn설명으로는 함수와 그 안에 존재하는 lexical environment와의 조합입니다.이 것을 더 정확하게 표현하면 내부함수가 스코프 밖에 있는 변수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closure의 가장 큰 특징은 정보 은닉과 캡슐화를 제공한다
지금은 초등학생들도 스마트폰을 가지고 있을 정도로 인터넷 환경이 잘 되있습니다. 하지만 저는 몰랐습니다. 스마트폰 자체가 하나의 요청자, 즉 클라이언트로 되어 있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를 통해서 앱과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말입니다.http는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정보
callback이 매개변수로 순서를 이어주었다면 promise는 .then을 통해 이어주게 됩니다.promise는 3가지 형식으로 이어지게 됩니다.1\. pending -> 대기중2\. fulfilled -> 비동기 성공 -> .then 으로 연결 가능3\. rejec
Immersive 과정의 첫 HA가 끝났다. TOY Problem과 Sprint, 그리고 HA까지 끝내고 내린 결론은 재귀, 시간복잡도 엄청 공부해야겠다는 생각뿐이다. 으으...아무리 해도 재귀는 한동안 내게 주어진 숙제라고 생각한다. 이번 주말의 과제는 n queen
1) 기본 형식2) prototype 생성3) 상위 폼을 상속받기4) prototype을 상속받기 => call, apply 사용만약 Student.prototype = Human.prototype을 하게 되면 어떻게 될까?처음에는 Student.prototype은 H
1.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은? 과거에는 절차 지향 프로그래밍을 통해 프로그램을 만들었습니다. 예를 들어 이런 식으로 절차 지향 프로그램은 절차를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설정하고 이후에 기능을 구현해냅니다. 하지만 점차 문제가 생기게 됩니다. 프로그램을 만들기는 무척 쉽
해시 테이블란?해시 테이블의 원리해시 함수와 충돌비트코인.예전에도 황금알의 상징이었고 지금도 다시 언급되고 있는 떡상의 상징.비트코인이 가상화폐로 자리를 잡았던 이유는 2가지의 암호화 과정입니다.하나는 거래자들과의 거래를 위한 ECC(Elliptic Curve Cryp
linked list란?linked list의 구조배열과의 차이pseudo code음악을 듣다보면 되감기이나 다음 트렉 버튼을 볼 수 있습니다.이 기능이 작동할 수 있는 이유는 각 버튼에 이전, 혹은 다음 곡들의 요소가 서로 연결되어있기 때문입니다.이렇게 요소들이 일정
이번 한 주간 4일동안 배웠던 내용보다 오늘 하루 배웠던 내용이 3만배 더 어려운 신기한 경험을 하였다. 물론 머리로는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였지만 손은 머리를 따라가지 못하는 법. linked list와 hash table은 하루만에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아니니
배열, 객체 이외에 새로운 자료구조인 스택과 큐를 배웠다. 도대체 이 것들이 쓰이는지 몰랐지만 이내 뒤로가기, ctrl+z와 같은 기능을 구현할 때 아주 유용하게 사용하는 것을 안 이 후에는 우리의 선조(?)들에게 감사하는 자세를 가지기로 했다. 당분간은 더 재밌는 자
this와 call, 그리고 apply에 대한 개요가 끝났다. 개념은 알고 있지만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지난번처럼 수없이 반복을 하고 시행착오를 겪으면서 유용하게 사용할 때까지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생각했다.오늘 느꼈던 것은 나는 그동안 내가 배운 선에서만 복습을 하고
해당 배열에 추가 설정으로 변경하거나 특정조건을 붙여서 새로운 배열을 만들 수 있다.해당 배열의 요소를 논리식을 바탕으로 필터링한다. TRUE면 추가하고 FALSE면 제거한다.reduce 함수는 총 5개의 요소로 구성되어있다.reduce(function(accumula
1) 배열 더하기arr.push(el)배열의 마지막 요소 뒤에 el을 추가arr.unshift(el)배열의 처음 요소 앞에 el을 추가2) 배열 빼기arr.pop()배열의 맨 뒤의 요소를 제거arr.shift()배열의 맨 앞의 요소를 제거3) 배열 합치기arr.con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