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코딩테스트 연습 level2 > 최솟값 만들기

LIMHALIM·2023년 2월 11일
0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2941


🔊 문제 설명

길이가 같은 배열 A, B 두개가 있습니다. 각 배열은 자연수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배열 A, B에서 각각 한 개의 숫자를 뽑아 두 수를 곱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배열의 길이만큼 반복하며, 두 수를 곱한 값을 누적하여 더합니다. 이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값이 최소가 되도록 만드는 것이 목표입니다. (단, 각 배열에서 k번째 숫자를 뽑았다면 다음에 k번째 숫자는 다시 뽑을 수 없습니다.)
예를 들어 A = [1, 4, 2] , B = [5, 4, 4] 라면
A에서 첫번째 숫자인 1, B에서 첫번째 숫자인 5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0 + 5(1x5) = 5)
A에서 두번째 숫자인 4, B에서 세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5 + 16(4x4) = 21)
A에서 세번째 숫자인 2, B에서 두번째 숫자인 4를 뽑아 곱하여 더합니다. (누적된 값 : 21 + 8(2x4) = 29)
즉, 이 경우가 최소가 되므로 29를 return 합니다.
배열 A, B가 주어질 때 최종적으로 누적된 최솟값을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나의 풀이

function solution(A,B){
    const size = A.length;
    var answer = 0;
    
    A.sort((a, b) => a - b);
    B.sort((a, b) => b - a);

    for(let i = 0; i < size; i++)
        answer += A.shift() * B.shift();

    return answer;
}

👀 다른사람의 풀이

function solution(A,B){
    A.sort((a, b) => a - b)
    B.sort((a, b) => b - a)
    
    return A.reduce((total, val, idx) => total + val * B[idx], 0)
}

좀 더 간결한 방법으로 A 배열을 순회하면서 A의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B의 요소와 곱해주는 걸 생각하긴 했는데 reduce() 라는 함수를 떠올리지 못했다.
reduce 인자를 순서대로 total은 누적 값, value는 현재 요소, idx는 현재 요소의 index이다.
이를 통해서 간단하게 답을 구할 수 있다. 이런 누적 값을 구해야 하는 문제의 경우 너무 편리할 것 같다!


arr.reduce(callback[, initialValue])

callback : 배열의 각 요소에 대해 실행할 함수이며 다음 네 가지 인수를 가진다.

  • accumulator : 누산기. 콜백의 반환 값을 누적. 콜백의 이전 반환값 또는, 콜백의 첫 번째 호출이면서 initialValue를 제공한 경우에는 initialValue의 값임
  • currentValue : 처리할 현재 요소
  • currentIndex (Optional) : 처리할 현재 요소의 인덱스. initialValue를 제공한 경우 0, 아니면 1부터 시작
  • array (Optional) : reduce()를 호출한 배열

initialValue (Optional) : callback의 최초 호출에서 첫 번째 인수에 제공하는 값. 초기값을 제공하지 않으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를 사용. 빈 배열에서 초기값 없이 reduce()를 호출하면 오류 발생


✍️ 수정된 풀이

function solution(A,B){
    A.sort((a, b) => a - b);
    B.sort((a, b) => b - a);

    return A.reduce((acc, cur, idx) => {return acc += cur * B[idx]}, 0);
}
profile
모든 익숙함에 물음표 더하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