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RD의 개념과 특징 및 구성요소

ㅎㅎ·2022년 12월 27일
0

ERD

개념적 데이터 모델링

  • 현실에서의 정보, 연관된 정보 그룹, 정보와 그룹 사이의 관계를 표현하게 해주는 것
  • 정보: 본문, 작성일, 작성자 / 이름, 소개, 저자번호 / 글번호, 제목, 작성일, 본문
  • 그룹: 댓글 / 저자 / 글
  • 관계: 작성한다, 속하다 등..
  • ERD는 이것을 표로 표현 가능하게 해줌

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다운 개념의 구조?

RDB는 글 속의 댓글, 댓글 속의 저자 등으로 표현이 불가능함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어코 거대 단일 테이블을 만들어 모든 정보를 넣으면 중복하는 정보가 발생함(중복 데이터가 몇 억 건인데 다 저장할 필요가 있을까?)

  • 이러한 문제를 해결한 것이 ERD

ERD의 특징

1.주제에 따라서 데이터를 그룹핑(글, 저자, 댓글..) 할 수 있다.
2.글에 대한 정보만 필요할 때 글만 표현하여 컴퓨터의 자원 절약
3.JOIN을 통해서 추가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ERD의 구성요소

  • Entity: 댓글, 글, 저자 -> table로 전환
  • Attribute: 본문, 제목, 생성일 등 구체적 속성 -> column으로 전환
    -> 글에서 '저자'와 같은 데이터는 속성이 되지 않음,
    why? 저자는 그 자체로 entity가 될 수 있기 때문에
  • Relation: 쓰다(저자-글 , 저자-댓글) -> PK, FK 제약조건으로 전환 및 JOIN을 통하 연결 가능

출처: 생활코딩 유튜브, 관계형 데이터 모델링 4.1 ~ 4.3

profile
Hello World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