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ton 패턴

Red Culture·2021년 6월 6일
0

싱글톤 패턴이란

프로그램이 시작될 때 어떤 클래스가 최초 한번만 메모리를 할당하고(static) 그 메모리에 인스턴스를 만들어 생성된 인스턴스를 어디에서든지 참조할 수 있도록 하는 패턴이다. 생성자가 여러 차례 호출되더라도 실제로 생성되는 객체는 하나이다.

구현 방법

단 하나만 존재하는 인스턴스인 경우 생성자는 private으로 만들고, static으로 유일한 객체를 생성하고 외부에서 유일한 객체를 참조할 수 있는 public static get() 메서드 구현한다. 객체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getInstance()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할 수 있고, 이 메서드를 호출하면 항상 같은 인스턴스를 반환한다.

// 방법1: 객체를 미리 생성해두는 방법 (가장 단순하고 안정적인 방법)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 static 영역에 객체를 딱 1개만 생성해둔다.
    private static final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 생성자를 private으로 선언해서 외부에서 new 키워드를 사용한 객체 생성을 못하게 막는다.
    private SingletonService() {}

    // public으로 열어서 객체 인스턴스가 필요하면 이 static 메서드를 통해서만 조회하도록 허용한다.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

// 방법2: getInstance()를 호출하는 시점에 객체가 생성이 안되어 있으면 객체를 생성하고, 이미 생성되어 있는 경우는 생성된 객체를 반환하는 방법
public class SingletonService {

    private static SingletonService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private SingletonService() {}

    public static SingletonService getInstance() {
        if(instance == null) {
        	instance = new SingletonService();
        }
        return instance;
    }
}

싱글톤 패턴 사용 이유

최초 한 번만 메모리를 할당하여 한 번의 new로 인스턴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동일한 인스턴스를 자주 생성해주어야 하는 경우에 메모리 낭비를 방지한다. 싱글톤으로 생성된 객체는 한 번 생성으로 전역성을 띄기에 다른 객체와 공유가 용이하다.

싱글톤 패턴 사용시 주의해야할 점

상태를 가진 객체를 Singleton 으로 만들면 안된다. 단 하나의 인스턴스가 존재하고 전역에서 접근할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쓰레드에서 객체의 상태를 계속 변경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싱글톤 인스턴스가 너무 많은 일을 하거나 많은 데이터를 공유시킬 경우 다른 클래스의 인스턴스들 간에 결합도가 높아져 OCP(개방-폐쇄 원칙)를 위배하게 된다.
값을 변경할 수 있는 필드 대신에 공유되지 않는 지역변수, 파라미터, ThreadLocal 등을 사용해야 한다.
멀티쓰레드 환경이라면 static 앞에 synchronized 키워드를 붙여 동기화 작업을 추가로 해야한다. 단, 성능은 저하된다.

profile
자기 개발, 학습 정리를 위한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