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가입은
클라이언트랑 서버랑 다름
서버사이트 어플리케이션은
태그를 사용함 그 후 submit을 날림(QueryString 형식으로 날아감)웹앱데이터는 JSON을 가지고 작동함
스프링 책에 댓글 처리방법에 JSON나옴
우리는 어제 웹앱만듦(브라우저 내에서 동작하도록 만듦)
옛날에는 아이프레임썻음(옛날에는 페이지 위에 페이지 띄움) z-index개념이랑 비슷한 거 아닌가?
자스가 없을 때는 웹페이지를 어떻게 구성하는가
웹페이지 안에 새로운 웹페이지를 넣는 게 아이프레임 방식
a태그나 form 태그는 링크밖에 없음
target이라고 HTML에서 쓰는 애가 있음
웹앱은 자스가 주인공
서버사이드는 HTML이 주인공
주소를 치는 순간 브라우저가 통신을 시작하고 화면에 뿌려줌(이게 랜더링)
옛날에는 화면을 위에 다시 주는 아이프레임 방식 사용
여기서 더 발전한 것이 폼테그
아이프레임은 보통은 크기를 0으로 줌
서버사이드 프로그램은 보통 iframe 사용
우리가 할 컨트롤은 옛날방식 (서버사이드)
제이쿼리는 웹앱 이전시절 등장했는데 js를 함수에 담아서 쓰는 방식(옛날 사용방식)
그렇다면 왜 배워야하는가? 제이쿼리로 만들어진 사이트가 많음
플러그인들 ex) 확대기능 등은 제이쿼리가 제공하는 것이 너무 많기 때문에 ****
제이쿼리 쓰는 이유 DOM조작 편하게 할 수 있음,
그리고 이펙트/애니메이션/플러그인 등 ui 적으로 화려하게 가능한 애들
min. 은 공백이 없음 공백만 없어도 서버속도가 빠르게 올라감 min단어 제거하면 공백생기면서 보기가 좀 쉬움
제이쿼리의 단점은 느리고 무거움
제이쿼리 쓸 때 규칙이 있음
자스는 양날의 검
$는 함수자체를 의미하고 $() 제이쿼리를 실행한 결과 이는 무엇인가?
제이쿼리 그자체를 실행한 함수
내용은 내가 만들 수 있으면 아는 거임
제이쿼리는 기본이 버블링임
document.querySelcetor 이랑 제이쿼리랑 다름
제이쿼리를 실행하면 걔를 감싸고 있는 애가 나옴(이게 데코레이터)
순수한 DOM을 반환하지 않음(실제 element를 감싸고 있는 애를 반환함)
제이쿼리를 많이쓰면 함수를 계속 실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속 느려짐
파라미터가 없으면 getter 기능 사용
파라미터가 있으면 setter 기능 사용
제이쿼리의 가장 큰 오해는
쌓여있어서 나온다. 그 이유는 거기에 편하게 처리하게 하기위해서 한번 감싸서 나옴(함수를 실행하면 되니까)
get[0]으로 쓰면 안에 있는 애를 직접 쓸 수 있다
제이쿼리는 하나든 상관안하고 한번에 걸 수 있다.
제이쿼리 나오고 나서 쿼리 셀렉터 등장함
onload 하면(데이터가 다 읽어오고 실행돼버려서) 속도가 느려지니까 document.ready하면 좀 빨라짐
제이쿼리 안에 순수한 DOM인애가 있고 아닌 애가 있다.
제이쿼리에도 상위(부모) 를 찾는 기능 closest 있음
줄어든 다음에 DOM에서 사라지게 할 수 있음
css 3d card
이미지를 hide 말고 없애고 싶을 때
drag and drop 이제는 HTML5가 지원함
제이쿼리에서 find 는 아래로 찾아감 closest 위로 찾아감
css에서 어떤 애를 움직이는 방법이 두가지가 있는데
자스를 이용해서 처리하거나 (1초동안 for루프돌면서 ele의 좌표 바꿔주는 방법 ) 이게 제이쿼리의 애니메이트
css3를 이용하는 방법(css의 변화에 시간을 준다(duration) 그 시간동안 변화(trans form)를 준다)
이 둘으 ㅣ차이는 자스는 cpu사용 css3는 gpu사용 애니메이션을 제대로 이용한다면 css3사용하면 됨
https://api.jquery.com/animate/ 이런 것들을 좀 더 편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제이쿼리ui제공함
https://jqueryui.com/tabs/ 해서 버전2 만들면 될 거 같음
on이 등장하면 이벤트다 js에서
작은
relative 사용
meterial ui는 모바일용으로 개발할 때 사용
컨텐츠 플루이드가 가장 기본 css적용해줄 때
이미지 갤러리 만들 때는 Carousel사용하면 됨
이미지크기 통일 시키는 것이 중요함
제이쿼리 이미지 갤러리 검색
card 기능을 많이 사용함
버전 조심해서 사용해야함
https://getbootstrap.com/docs/5.1/components/navbar/
이거 사용하면 됨
adminlte bootstrap 이거도 부트스트랩
https://startbootstrap.com/theme/sb-admin-2 여기도 좋음
flex 구조 설명
우리가 지금 쓰고 있는 거는 css flex
css grid 가 공부하기가 좋음(반응형 웹을 만들기가 좋음)
https://studiomeal.com/archives/533
https://ibrahimovic.tistory.com/23
이 두가지 사이트 보면서 css grid 공부하면 좋음
close project 하고 새로운 프로젝트 만들면됨
부트스트랩의 카드
화면에 ROOT
제이쿼리의 이벤트 어팬드 리무브 사용해서 구조만들기
/(슬래시)가 있으면 절대경로
슬래시가 없으면 상대경로라고 생각하면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