좀 머릿속에 있는 프로젝트 내용을 구체화해야할거같다.
우선
setting을 생각해보자.
쿠버네티스랑 프로메테우스를 해볼거니까 docker를 사용하는데 굳이 백엔드 둘이 종속성 관리까지는 필요없으니 포이트리 이런건 안쓰자
그럼 docker에 django, python이렇게만 두고 해보자.
ver.1을 먼저 완성해야하는데
구체적으로 ver.1에는 단가 계산기, 가계부, 매출분석이렇게 들어갈거고
매출분석은 파이썬 라이브러리있다고 하니까 그걸 사용해보자
그럼 ver.1에 해야할일은
offline으로는 집에 홈서버 구축하기, ddns인가 그걸로 접속가능하게하기
도커에 엔진엑스 하나 컨테이너 만들어서 엔진엑스로 사용하는게 좋을거같기도?
우선 도커 컨테이너는
app, neginx, db 이렇게 만들어야할거같고, 버전업을 하면서 기능이 독립적인 경우에는 컨테이너를 추가하는 방식이 좋을거같네
만약 오토스케일링이나 로드밸런싱을 할거면 컨테이너 자체가 여러개가 되야 무중단 배포가 되는건가??
그럼 알아봐야할것
1. 무중단 배포는 어떤식으로 해야할지
2. 컨테이너를 어떻게 설정해야할지
3. 홈서버에서 db는 어떤 방식으로 진행되는지?
4. 파이썬의 자료 분석방법은 어떤걸 쓰는지?
고민중인 내용
1.1개의 본체로 서버를 설정하면 1개의 서버가 되는건데 로드밸런싱은 기본적으로 여러개의 서버에 같은 컨테이너를 띄워서 트래픽 부하를 감당하는거라면 한개 컴퓨터에 여러개의 vm을 설치해야하나?? 독립적인 서버를 만드는?
2. 그럼 지금 남은 본체는 이걸 받쳐주는 성능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