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서버에 어떤걸 설치할까하다가 이런 장단점을 찾았다
홈서버를 구성할 때 선택할 수 있는 운영체제 설정 방식은 두 가지로 나뉩니다:
윈도우에 가상 머신(VM)으로 우분투 설치
바로 우분투를 설치하여 서버 운영체제로 사용
1. 윈도우 설치 후 가상 머신으로 우분투 설치
장점:
유연성: 평소에 윈도우를 사용하고 서버 작업이 필요할 때만 VM으로 우분투를 켜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멀티태스킹: 윈도우 환경에서 서버 외에 다른 작업(예: 게임, 일반적인 프로그램 실행)을 할 수 있습니다.
가상화: 여러 개의 가상 머신을 만들 수 있어 테스트 환경을 별도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단점:
리소스 소모: 가상화 환경에서는 자원을 분배해야 하므로 CPU, 메모리, 디스크 등의 자원이 나눠 사용됩니다. VM으로 우분투를 구동할 때 서버 성능이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복잡성: 가상화 설정, 네트워크 연결 등 윈도우와 VM 간의 설정이 필요합니다.
추천 상황:
홈서버를 단순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평소에는 윈도우 환경에서 다른 작업을 많이 하는 경우.
서버가 항상 24/7 가동될 필요는 없고, 필요할 때만 서버 기능을 활성화하려는 경우.
2. 바로 우분투 설치 (Bare Metal Installation)
장점:
최적화된 성능: 서버에 필요한 모든 리소스를 직접 사용할 수 있으므로 가상화로 인한 자원 낭비가 없습니다.
안정성: 서버 운영체제로 우분투를 바로 설치하면 관리가 간단하고 안정적인 서버 운영이 가능합니다.
커뮤니티 지원: 우분투는 서버용으로도 많이 사용되며, 다양한 오픈소스 툴과의 호환성이 좋습니다.
단점:
윈도우 작업 불가능: 서버를 우분투로 구성하면 윈도우 작업을 위해서는 듀얼 부팅이 필요하거나, 우분투 내에서 VM을 통해 윈도우를 돌려야 하는 불편함이 생깁니다.
사용 편의성: 우분투 환경에 익숙하지 않다면 초기 설정 및 관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추천 상황:
홈서버를 24/7 운영하며 안정적인 서버 성능이 중요한 경우.
서버 작업(예: 웹 서버, 파일 서버, 개발 환경)이 주된 목적이고, 개인적인 윈도우 작업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결론:
일상적으로 윈도우 작업을 많이 하면서 서버 기능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계획이라면 윈도우에 VM으로 우분투를 설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서버의 성능과 안정성이 가장 중요하고 항상 서버가 가동될 필요가 있다면 우분투를 직접 설치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아무래도 나는 24/7을 돌릴예정이니 우분투 os 를 깔아서 해봐야할듯하다.
홈서버로 n100이나 그 이상의 미니 pc로 결정했다.
결정적인 이유는 정전 발생시 서버가 유지되려면 보조전력장치가 필요한데, 보조배터리만으로 그게 가능한 본체는 미니pc밖에 없을것 같다.
근데 정전이 나면 애초에 와이파이가 끊기지않나?
흠 어쨋든 전기세까지 고려한다면 미니pc가 깔끔하고 자리도 적게 차지할거같다는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