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vflow project 6일차 - 홈서버 구축 포트포워딩, ddns

주영광·2024년 11월 5일
0

livflowproject

목록 보기
9/30

문제가 되었던 부분은 다음과 같다.

  1. 유동ip
    -> 외부에서 접속을 하려면 ip가 고정되있어야 하는데 일반 가정집에서는 ip를 외부, 내부 ip가 유동적이기 때문에 이 부분 문제를 해결해줘야한다.
    해결 방법 : 외부 ip - ddns서비스를 이용해서 아이피를 ddns.net으로 연결시켜서 한달마다 바꿔준다. (no-ip.com 이용해서 무료로 진행)
    내부 ip는 공유기에서 하는 방법이 있고, nginx에서 하는 방법이 있어서 편하게 공유기에서 시도해볼 생각

  2. aws와 다른 프론트엔드 배포방식
    aws에서는 클라우드 프론트에 s3를 물려서 route53으로 쉽게 배포했는데 직접 배포방식은 다른듯 하다. 현재 알아낸 방식은 서버 pc에 프론트 엔드 html파일을 가져와서 엔진엑스에 물려서 하는 방식이다. 가비아에 a레코드로 ip주소를 입력해놨는데 거기에 www, api. 두개를 물려놓고 들어오는 방식에 따라 프론트로 갈지 docker로 갈지 정해서 하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여기서 고민인 부분은 아무래도 no-ip를 사용하면 가비아 cname을 사용해야 하지않나 싶은데 ip 를 물려놓으면 주소를 입력했을때 공인 ip로 이동하니까 그 가운데에 ddns주소가 들어가는게 맞는거같아서 그 부분을 알아봐야할거같다.

    그리고 엔진엑스 설정이 조금 복잡해질듯 싶다. 엔진엑스로 프론트 엔드 배포까지 같이 해야하는게 맞는지 모르겠지만 우선 그런 방식으로 진행을 해보려고한다.

    해야할일

내부 고정 IP 설정
No-IP DDNS와 도메인 연결
Nginx 설정

profile
오직 실력만이 나를 증명한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