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내부 ip를 고정시킴
nginx 설정 수정
가비아 ddns 연결
을 함
내부 ip는 공유기에서 설정할 수 도 있는데 내 공유기에는 수동 ip할당 목록이 안보여서 우분투 서버에서 netplan을 이용해서 했다.
하는 방법은 gpt에 쳐보면 나오니까 굳이 안써야겠다.
그냥 게이트웨이 ip랑 우분투 서버가 할당받은 ip를 입력하고 설정만 해주면되는거라 별로 어렵지 않았다 .
이걸로 외부,내부 ip는 고정된거같다. 이제 엔진엑스 설정만 바꾸고
공유기 포트포워딩만 제대로 되면 우선 사이트 접속은 될 듯하다.
엔진엑스 설정은 현재 ssl설정을 해서 https로 들어가게 443포트 여는걸 하고있는데, route53에서 간단히 인증받는걸 아무래도 도커 컨테이너로 와 홈서버로 하다보니까 절차가 약간 복잡한듯하다.
우선 txt레코드를 가비아에 입력하고 인증받아서 certbot으로 ssl인증을 하려고하는데 도메인이 www,api 두개다보니까 그냥 *을 이용해서 두개를 한번에 하는 방법을 사용해 볼까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