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ofile
I Think So!
태그 목록
전체보기 (76)스프링부트(7)타임리프(6)spring security(5)docker(3)예외처리(2)검증(2)pointcut(2)API Gateway(2)AutoConfiguration(2)자바(2)로그인(2)세션(2)validation(2)aop(2)쿠키(2)디자인 패턴(2)run(1)ervice Discovery(1)exception(1)어드바이스(1)authentication(1)session(1)AnnotationAwareAspectJAutoProxyCreator(1)static(1)spring cloud config(1)layered architecture(1)ThreadLocal(1)actuator(1)AuthenticationProvider(1)스프링부터(1)zone(1)JDK 동적 프록시(1)어드바이저(1)기본 메소드(1)Composed-annotation(1)conditional(1)rejcet(1)Form Login(1)environment(1)API(1)cglib(1)모놀리식(1)파일다운로드(1)proxy pattern(1)해킹과금(1)eureka(1)동시 세션 제어(1)28276(1)execution(1)Datasource(1)connectionPool(1)이미지(1)FieldError(1)ConversionService(1)ssl(1)오류페이지(1)파일업로드(1)포인트컷(1)ErrorCode(1)SecurityContext(1)service discovery(1)@ExceptionHandler(1)스트림(1)Bipartite matching(1)마이크로서비스(1)remember me(1)변수캡처(1)HandlerExceptionResolver(1)세션 고정 보호(1)H2(1)compose(1)netflix eureka(1)이분 매칭(1)데코레이터 패턴(1)advisor(1)ArgumentResolver(1)메서드 레퍼런스(1)BeanPostProcessor(1)분산형(1)ClassUtils(1)stream(1)Segment Tree with Lazy Propagation(1)Spring Sercurity(1)람다식(1)TLS(1)옵션널(1)JWT(1)Converter(1)meta-annotation(1)Formatter(1)@ConditionalOnMissingBean(1)세션 정책 설정(1)상태 패턴(1)함수적인터페이스(1)default methods(1)트랜잭션(1)Yawned-Zoned(1)아키텍처(1)ProxyFactory(1)build(1)AuthenticationManager(1)commit(1)@Functionallnterface(1)controlleradvice(1)FilterChainProxy(1)ObjectError(1)formatting(1)advice(1)빈 후처리기(1)메서드 참조(1)@property(1)MultipartFile(1)docker hub(1)AccessDenied(1)프록시 패턴(1)필터(1)basic(1)Jasypt(1)bean validation(1)BindingResult(1)Strategy Pattern(1)pull(1)aws(1)Spring Cloud Gateway(1)Java(1)인터셉터(1)rejectValue(1)전략 패턴(1)cookie(1)리플랙션(1)DelegatingProxyChain(1)spring cloud(1)Token(1)zuul(1)logout(1)템플릿 메소드 패턴(1)datetime(1)JDBC(1)optional(1)Docker file(1)Authentication Flow(1)decorator pattern(1)디폴트 메소드(1)aspect(1)private(1)JPA(1)스프링(1)타입컨버터(1)
post-thumbnail

BOJ - 28276 (Yawned-Zoned)

여기서 포스팅을 확인하세요!문제 링크원래 특정 문제에 대한 포스팅은 지양하는 편이지만, 이 문제는 나를 너무 고생시킨 기념으로 포스팅한다.기본적인 아이디어는 "매개 변수 탐색"이다. 주어진 C번 만큼만 끊어서, 특정 숫자((min+max)/2)만 하품하는 경우를 만들

2023년 7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2-SAT(satisfiability)

2-SAT(satisfiability) 문제는 n개의 bool 변수로 이루어진 2-CNF 식이 true가 되게 하는 경우가 있는지, 있다면 각 변수에는 어떤 값이 들어가야 하는지 정하는 문제이다. 이 문제에서 2-SAT이 무엇인지 잘 설명해주고 있다.f = (¬x1 ∨

2023년 5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펜윅 트리(Fenwick Tree)

구간 합(range sum)은 부분 합(partial sum)을 이용하여 아주 빠르게 계산할 수 있다.부분 합: psumpos = arr0 + arr1 + ... + arrposleft, right의 구간 합: psumright - psumleft-1펜윅 트리(Fenw

2023년 5월 1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모스 알고리즘(Mo's algorithm)

모스 알고리즘은 업데이트가 없는 구간 쿼리들을 빠르게 처리하는 알고리즘이다. 이때 쿼리는 구간의 합, 최댓값, 최솟값 등이 될 수 있다.기본 아이디어는 아주 간단하다. '앞선 쿼리로 인해 계산된 값을 최대한 활용하자'이다. 특히 쿼리의 순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환

2023년 5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거듭제곱, 모듈러 연산, 페르마의 소정리

![](https://velog.velcdn.com/images/gmtmoney2357/post/646bcbfe-7c27-48d1-a4b8-dbd6137e04

2023년 5월 4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Network Flow 1: 최대 유량 알고리즘(Edmonds-Karp)

네트워크 플로우 알고리즘(Network Flow Algorithm)은 그래프 이론에서 사용되며, 최대 유량(maximum flow)을 찾는 알고리즘이다. 유량(flow)은 한 노드에서 다른 노드로의 데이터 전송량을 의미한다.예를 들어, 기름을 전송하는 파이프(pipe)

2023년 4월 2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이분 매칭(Bipartite Matching)

N명의 사람이 M개의 일을 처리해야 한다. 각 사람은 최대 1개의 일만 할 수 있고, 각 일(job)도 최대 1명만 담당할 수 있다. 최대한 많은 일을 처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사람과 일을 매칭할 때, 그 매칭 수가 최대가 되게 하면 된다. 이를 위해 사용하는 알고

2023년 3월 2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느리게 갱신되는 세그먼트 트리

세그먼트 트리는 배열의 연속된 구간의 합, 최댓값, 최솟값 등을 구하는데 O(logN)으로 처리할 수 있다. 특히 배열의 한 원소의 값이 변경됐을 때 O(logN)으로 업데이트가 가능하다. 백준 기준 골드 상위권 티어부터 자주 사용되는 알고리즘이다.하지만 i번째 수부터

2023년 3월 1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7)-환경 설정(environment), 프로퍼티 (property)

스프링이 제공하는 environment abstraction(환경 추상화)이란 무엇인가?애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환경은 목적이나 사용자에 따라서 조금씩 다르다. 스프링은 동작 환경에 맞춰서 코드를 매번 수정하지 않더라도,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설정을 바꿀 수 있는 매커니즘

2023년 2월 2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6)-조건부 자동 구성

전 게시물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자동 구성 정보를 외부 파일에서 읽은 후, 동적으로 자동 구성을 등록하도록 했었다. 이 기능을 만들기 위해 MyAutoConfiguration 애노테이션 클래스를 만들고, 이 클래스의 full path+name 으로 만들어진 텍스트 파일(

2023년 2월 19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5)-자동 구성 기반 애플리케이션

애플리케이션 빈: 개발자가 어떤 빈을 사용하겠다고 명시적으로 구성 정보를 제공한 것을 말한다.컨테이너 인프라스트럭처 빈: 스프링 컨테이너 자신이거나, 스프링 컨테이너가 계속 기능을 확장하면서 추가해온 것들을 빈으로 등록시켜서 사용하는 빈들. 개발자가 이런 빈들을 등록

2023년 2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4)-메타 애노테이션과 합성 애노테이션

메타 애노테이션이란 애노테이션 위에 붙은 애노테이션이라는 뜻이다. 보통 애노테이션은 클래스나 메소드 앞에 붙지만, 애노테이션 위에도 애노테이션을 또 붙일 수 있다. 이때 애노테이션 위에 붙어있는 애노테이션을 ‘메타 애노테이션’이라 한다.메타 애노테이션을 한 개 이상을

2023년 2월 1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3)-스프링으로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스프링 컨테이너를 대표하는 인터페이스는 ApplicationContext이다. 이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고 있는 많은 정보(어떤 빈이 등록되었는지, 리소스에 접근 방법, 이벤트 전달 및 구독 등)를 담고있는 오브젝트들을 구현해야한다.Applicatio

2023년 2월 8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2)-스프링 없이, 서블릿으로 애플리케이션 만들기

서블릿은 자바의 표준 기술이고, 이 표준 기술을 구현한 제품들이 많이 존재한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서블릿 컨테이너가 톰켓이다.톰켓도 자바로 만들어진 프로그램이다. 즉, 클래스에 오브젝트로 만들고 어떤 메소드를 실행하면 동작한다.톰켓은 ‘임베디드 톰켓’이라는 라이브러

2023년 2월 7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boot 3에서 jasypt 에러

jasypt을 사용하기 위해 구글 서칭을 하면, 많은 블로그와 사이트에서 예제 코드를 확인할 수 있다.대부분의 코드들이 아래와 같이 3.0.4를 사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하지만 스프링 부트 3에서는 3.0.4를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다.결론부터 이야기하

2023년 2월 7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1)-스프링 부트의 탄생과 철학

스프링 개발을 도와주는 여러가지 도구의 모음이자 스프링 자체를 확장하고 있는 프레임 워크, 라이브러리기존의 스프링을 사용하기 위해선 너무 복잡한 고민이 필요하고, 시작을 빠르게 하기 어려웠다.스프링이 제공하는 많은 선택지와 스프링과 함께 사용하는 표준 기술, 라이브러리

2023년 1월 23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스프링 부트 3.0에서 h2 console 404 에러

스프링 부트 3.0의 중요 변경 부분은 아래와 같다.1\. Java 17 이상을 사용해야 한다.2\. javax 패키지 이름을 jakarta로 변경해야 한다.(오라클과 자바 라이센스 문제)보통 h2 db를 사용할 때는 테이블 생성 문제 때문에 1.4.200 또는 1.3

2023년 1월 3일
·
2개의 댓글
·
post-thumbnail

리눅스/Spring 무중단 배포 후기

아래 블로그를 통해 리눅스 환경에서 spring server을 무중단 배포하는 기술을 적용해봤다. 너무 친절하게 포스팅이 되어 있어서, 따라하는데 큰 어려움은 없었다.https://wbluke.tistory.com/39?category=418851내가 해당 작

2022년 8월 15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DB - 트랜잭션 with 스프링

본 게시물은 스스로의 공부를 위한 글입니다.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여기의 마지막 트랜잭션 사용 예시를 보자. 트랜잭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서비스 계층의 클래스에 비즈니스 코드와 트랜잭션 관련 코드가 함께 섞여있다. 해당 코드의 상황은 다음과 같다.해당

2022년 7월 11일
·
0개의 댓글
·
post-thumbnail

Spring DB - 트랜잭션

본 게시물은 스스로의 공부를 위한 글입니다.잘못된 내용이 있으면 댓글로 알려주세요!데이터베이스에서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트랜잭션은 ACID를 보장해야 한다.원자성(Atomicity) : 트랜잭션 내의 작업들은

2022년 6월 29일
·
0개의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