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rayList는 Java Collection 프레임워크의 일부이며 java.util 패키지에 소속되어 있다.List 인터페이스의 구현 중 하나로 Resizable한 것이 특징이다. (확장 가능한 배열)ArrayList는 Thread safe하지 않고, Vector는
위의 코드는 숫자야구게임을 구현하는 프로젝트 내에서 세 개의 랜덤 숫자 리스트를 받아서 Ball 객체를 초기화하고 tmpBalls 배열에 할당하는 코드이다.위의 코드로 작동은 했지만 람다식을 이용해서 같은 기능을 하는 코드를 구현하고 싶었다.충분히 그럴싸해보인다. 하지
spring boot 프로젝트를 EC2에 배포하면서 알게된 내용을 요약 정리하는 글입니다.application.yml에는 데이터베이스 커넥션을 위한 DB정보들이 담깁니다.실제 운영서버에서는 어떻게든 이 DB 정보들을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아야합니다.그러기 위해서 Jasy
혼자 간단한 토이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동시성을 처리하는 방법에 대해 조사하고 조사한 방법을 테스트한 글을 남깁니다.프로젝트는 사용자들의 링크를 저장하고 저장한 링크를 조회할 수 있는 프로젝트이고, 링크를 저장 시 태그를 부여해서 사용자가 지정한 태그별 링크를 조회할
String 클래스의 compreTo() 메서드는 두 문자열을 character 단위로 비교한 후 다른 문자가 있으면 문자끼리 뺀 값을 리턴합니다. 결과값은 아주 간단합니다. 하지만 개인적으로 두 개의 문자열의 위치가 바뀌었을 때 어떤 값이 나올 지 유추가 안 됐습니다
사이드 프로젝트에 로컬 캐시를 도입한 배경과 과정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글로벌 캐시와 로컬 캐시 중 왜 로컬 캐시를 선택했는지, 간단한 적용 방법, 그리고 로컬 캐시를 적용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의 어느 정도의 성능 차이가 나는지 살펴보겠습니다.캐시 전략은 크게 두
1\. 들어가며 Objects.hash()와 Objects.hashCode()의 차이점을 공부하고 기록한 글입니다. hashcode는 객체의 내용을 숫자로 표현한 것입니다. Java에는 hascode를 얻기 위한 메서드가 여럿 있습니다. Object.hashC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