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는 너무나도 익숙한 소셜 로그인은 유저와 기업 모두에게 매력적인 인증 방법입니다. 유저는 간편하게 로그인할 수 있고 기업은 신규 유저의 가입 장벽을 낮추고 신뢰성 있는 타기업에게 인증의 책임을 미룰 수 있죠. 소셜 로그인 구현을 위해 가장 많이 쓰이고 있는 프로토콜은 OAuth 2.0과 OIDC가 있습니다. 이 두 프로토콜이 어떻게 인증 및 인가를 부여하는지 알아봅시다.
인증 (Authentication): 신원 확인. 유저가 누구인지 확인하는 절차 (로그인, 회원가입)
인가 (Authorization): 유저에 대해 특정 리소스나 기능에 액세스 가능한 권한을 부여하는 것 (관리자 권한, VIP 유저 권한)
위임 권한부여를 위한 표준 프로토콜인 OAuth는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제공하지 않고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에게 접근 권한을 부여할 수 있게 해줍니다. 2010년 IETF에서 OAuth 1.0 공식 표준안이 RFC 5849로 발표되었으며, 현재는 OAuth 2.0 (RFC 6749, RFC 6750)이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위임 권한부여 (Delegated Authorization)
-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이 사용자의 데이터에 접근하도록 허가해 주는 것.
- 서드파티에게 아이디/비밀번호를 주기보다는 주로 OAuth를 통해 위임 권한부여를 함.
OAuth 2.0 의 로직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 몇 가지 용어를 알아야 합니다.
Client가 Authorization Server에 요청을 보낼 때 주로 다음과 같은 설정값을 Query String을 통해 전달합니다.
OAuth 2.0에서는 다음의 4가지 인증 방식으로 동작합니다.
Authorization Server, Resource Server, Client가 모두 같은 시스템에 속해 있을 때만 사용 가능.
ID, Password로만 Access Token을 발급받는 방식.
grant_type=password 형식으로 요청.
클라이언트의 자격 증명만으로 Access Token을 획득하는 방식.
User가 아닌 Client에 대한 인가가 필요할 때 사용.
즉, Client에 대해 리소스 접근 권한이 설정된 경우 사용.
자격 증명을 안전하게 보관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에서만 사용.
OIDC는 OAuth 2.0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유저의 인증(Authentication)을 위한 프로토콜 입니다. OIDC는 OAuth 2.0을 확장하여 인증 방식을 표준화 합니다. OpenID를 관리하는 OpenID Foundation에서 정의한 OpenID의 개념은 다음과 같습니다.
OpenID Connect 1.0은 OAuth 2.0 프로토콜 위에서 동작하는 간단한 ID 레이어입니다. 이를 통해 클라이언트는 인증 서버에서 수행한 인증을 기반으로 최종 사용자의 신원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최종 사용자에 대한 기본 프로필 정보를 상호 운용 가능하며 REST와 유사한 방식으로 얻을 수 있습니다. OpenID Connect를 사용하면 웹 기반, 모바일, 자바스크립트 클라이언트 등을 포함한 모든 유형의 클라이언트에서 인증 세션과 최종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요청하고 받을 수 있습니다. 스펙은 확장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참가자들에게 ID 데이터 암호화, OpenID 제공자 확인, 로그아웃 등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기존 OAuth 2.0의 동작 흐름과 거의 유사하며 ID token을 추가 발급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추가로, OpenID 문서를 읽다 보면 IDP, RP라는 용어가 등장하는데 각각 다음과 같습니다.
OAuth 2.0에서는 제공자가 원하는 대로 요청 범위를 설정 가능하여 유연한 사용이 가능했지만 상호 운용에 취약했습니다. OIDC는 요청범위를 profile, email, address, phone으로 표준화했습니다.
https://openid.net/specs/openid-connect-core-1_0.html#ScopeClaims
OIDC에서 ID토큰의 payload는 claims라고 알려진 필드들을 포함합니다. OIDC는 이런 클레임들을 표준화했습니다. 기본적인 클레임은 다음과 같습니다.
https://openid.net/specs/openid-connect-core-1_0.html#StandardClaims
OIDC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엔드포인트도 표준화했습니다. 예를 들어 /userinfo를 통해 사용자 메타데이터 정보를 검증합니다.
https://openid.net/specs/openid-connect-core-1_0.html#UserInfo
OIDC의 동작 흐름에서 가장 눈에 띄는 차이가 ID token의 유무입니다. ID token은 JWT로 생성이 되어 Payload 내부에 클레임을 포함합니다. 즉, ID token을 복호화하여 사용자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OAuth 2.0에서 액세스 토큰을 얻고 다시 사용자 정보를 요청하는 것보다 네트워크 통신 비용이 절감됩니다.
정리하자면, 가능하면 OIDC를 쓰되 필요로 하는 IDP에서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하면 된다고 생각합니다. OAuth 2.0은 인가, OIDC는 인증에 중점을 둔다고는 하지만 큰 차이점은 없었습니다. (ID 토큰과 더 강력한 표준화를 곁들인?) 오히려 OAuth와 OIDC 보다는 자사 서비스의 유저들이 어떤 IDP로 연결했을 때 회원가입 없이 로그인할 수 있을지가 더 중요할 것입니다. 이때 OAuth 2.0 만 제공하는 IDP라면 OAuth 2.0을 쓸 수 밖에 없을 것이고 구글처럼 OpenID가 적용된 OAuth가 기본 사양이라면 OIDC를 쓰지 않을 수 없을 것 입니다.
만약 OAuth 2.0과 OIDC 모두를 지원한다면 OAuth 2.0이 레거시일 확률이 큽니다. 표준화가 적용된 OIDC가 확장성도 좋고 네트워크 비용도 적게 들 테니 OIDC를 쓰지 않을 이유는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두 프로토콜의 두드러지는 차이는 없기에 양자택일을 위한 기술적 논의는 유의미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https://www.rfc-editor.org/rfc/rfc6750 (RFC 표준)
https://openid.net/specs/openid-connect-core-1_0.html
https://developers.google.com/identity/openid-connect/openid-connect?hl=ko#getcredentials (구글)
https://developers.naver.com/docs/login/devguide/devguide.md (네이버)
https://developers.kakao.com/docs/latest/ko/kakaologin/rest-api (카카오)
https://developer.apple.com/documentation/sign_in_with_apple/sign_in_with_apple_rest_api/authenticating_users_with_sign_in_with_apple (애플)
https://velog.io/@jakeseo_me/Oauth-2.0%EA%B3%BC-OpenID-Connect-%ED%94%84%EB%A1%9C%ED%86%A0%EC%BD%9C-%EC%A0%95%EB%A6%AC
https://tecoble.techcourse.co.kr/post/2022-10-24-openID-Oauth/
https://hudi.blog/open-id/
https://wildeveloperetrain.tistory.com/247
https://velog.io/@wlsh44/OpenID-Connect%EC%99%80-OAuth2.0
https://www.samsungsds.com/kr/insights/oidc.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