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디어가 사람들에게 직접적이고 강한 영향을 준다고 보는 초기 이론들
마법의 탄환 이론 → 미디어 메시지가 탄환처럼 사람들의 생각에 그대로 박힌다.
피해 주사 이론 → 미디어는 주사처럼 사람들의 행동과 감정에 직접 작용한다.
자극-반응 이론 → 미디어가 자극을 주면, 사람들은 자동으로 반응한다.
: 미디어의 영향력이 생각보다 제한적이라고 보는 이론들
2단계 유통 이론 → 사람들은 미디어보다 주변의 '오피니언 리더'에게 더 영향을 받는다.
제한 효과 이론 → 미디어는 기존 신념, 사회적 환경에 따라 제한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
: 미디어가 일정한 영향을 주지만, 사용자와 상황에 따라 다르다고 보는 이론들
이용과 충족 이론 → 사람들은 자신의 욕구를 채우기 위해 미디어를 선택적으로 사용한다.
의제 설정 이론 → 미디어가 ‘무엇을 중요하게 여겨야 하는지’를 간접적으로 정한다.
지식 격차 이론 → 정보에 접근 가능한 사람들과 그렇지 못한 사람들 간의 지식 차이가 커진다.
: 현대 사회에서 간접적이고 잠재적인 강한 영향력을 설명하는 이론들
침묵의 나선 이론 → 다수 의견에 반대하면, 사람들은 침묵하게 되어 여론이 한쪽으로 쏠린다.
제3자 효과 이론 → 사람들은 "나는 안 속지만, 다른 사람들은 미디어에 쉽게 영향을 받는다"고 믿는다.
확증편향현상, 팝콘브레인현상, 디지털 격리 증후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