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인간 본성의 과학적 이해

최지웅·2025년 3월 26일
0

gcs

목록 보기
25/78

개와 고양이는 앙숙관계인데 개가 친근함을 표현하는 꼬리흔들기는 고양이에게 위협이고, 고양이가 친근함을 표현하는 꼬리내리기는 개에게 좋지않다.

  • Effectiveness, 효율성
    Can(EQ, Competencies, Skills, Gifts, Talent), Want(Traits, Motives, Drives, Desires), Should(Values, Principles, Culture, Organization Strategy)
    주로 Want는 유전인 경우가 많다.

  • Johari Window

    나 혹은 남이 생각하는 게 다르기에 Blind와 Hidden은 갈등이 발생할 수 있다.
    위에서 Effectiveness 즉 효과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나 부터 나를 알아야하기에 Blind를 먼저 확장시킨 후, Hidden을 늘리면 확장시키면 된다.

  • 커뮤니케이션
    화자가 청자에게 생각을 말을 통해 전달하는 과정. 이때 화자와 청자는 같은 인코딩-디코딩 방식을 따라야 대화가 된다. 화자는 자신의 생각을 판매영업하는 사람, 청자는 구매자다.

  • KAI(Kirton Adaption-Innovation Inventory) TEST
    에서 총점(3개 지표에 어떤 평균), Originality(독창성?), Rule Conformity(순응도), Effectiveness
    ㄴ Originality에서 각각 세션별로 한명 씩이 이상적이다.

  • 압박면접 or 과음시키기 or 도박의 목적
    스트레스를 줘서 두뇌를 털어버리면 안좋은 감추고 있는 밑바닥 습관이 나옴(ex 다리떨기)

  • 단점을 서로 공유하는게 오히려 팀매칭 시 편하다.

  • MBTI(Myers-Briggs Type Indicator)_ 칼융 기반. 진단이 아니라 유형을 구분하는거..위에도 마찬가지(정답이 없다). 그냥 선호하는 방향을 보는 검사.
    E/I 에너지의 방향을 의미한다. 에너지를 정보를 가지고 오는 데에 사용한다.
    S/N 정보의 출처가 오감이면 Sensing 정확하고 보수적 / iNtuition은 육감(촉) 증명불가.. 근데 잘하면 천재. 정보를 바탕으로 판단해야함(기준)
    T/F 자기만의 논리가 있으면 Thinking(옳고 그름) / Feeling은 그 사람과의 관계, 맥락, 나의 철학이 중요(좋고 나쁨). 총괄적으로 외부세계(시간, 공간, 관계)를 대처하는 양식.
    J/P Judging은 외부세계가 구조적인게 좋다 / Perceiving
    ㄴ 일할 때 J/P가 중요. J는 무조건 계획이 있어야 함. P는 그때그때 열심히.
    ㄴ P인데 엄청 뛰어난 게 아니면 시간과 계획을 요구하는 스타트업에서 무능한거다. J리더는 기다려줘야한다. 개인의 능력을 보여줄 수 있도록.
    ㄴ J들은 갑작스런 질문에 바로 답을 하긴 함 1~2초 내(뱉고 생각하고 또 뱉음). P는 7초는 기다려줘야함(생각하고 뱉고 또 생각함) ==> 주로 J들은 이 7초를 기다리지 못한다. "시간을 더 드릴까요? 조금 이따가 다시 얘기해보죠" bb

  • ps
    N 사장님들은 미래적이고 큰 얘기를 듣고싶어함(지금 매출액이~ 그래서 유망해요. 하면 탈락!)
    S 사장님들은 작은 얘기에서 확장하는걸 듣고싶어함(유망해서~ 매출액이~ 하면 탈락!

ESTP
ㄴ P는 판단을 바꾼 뒤 J에게 말하는데, 이는 J관점에서 P가 배신했다고 생각할 수 있음

profile
이제 4학년!!!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