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와 유전자를 섞고 있는 개체들에게 착한 행동을 하는 개체가 오래 살아남더라 ex) 내 목숨 값은 조카 4명 정도. 그 외에는 주고받는 관계.
위와 같은 새로운 기능(ex. 이타성)이 도입되어 널리 퍼지기까지는 파생되는 문제와 함께 검증이 계속된다.
애덤 그랜트의 '기브 앤 테이크'에서는 Giver, Matcher, Taker로 인간을 분류한다.

쉽게 말하면 주기만 하는 사람, 받기만 하는 사람, 상대 하는 만큼 하는 사람.
그리고 받거나 상대하는만큼 하려면 우선 주기만 하는 사람이 항상 존재해야만 한다. 즉 기버가 모든 순환과 선택지를 만들어낸다.
죄수의 딜레마

베스트는 둘 다 묵비권 해서 각각 1년 씩 사는건데, 배신을 먼저 하면 혼자 개꿀임. 만약 둘 다 배신하면 20년.
AI에게 20번 수행시켜서 어떤 전략이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했는가?
공공재 게임

기여하는 사람은 자신의 돈을 투자하는데, 어떤 사람들은 기여도 안하고 기여자가 만든 이익을 얻는다.
주의사항
기여량은 상대적일 수 있음. 나보다 적게 기여하면 무임승차자로 인식가능
다만 잔정적으로 팀원 성향을 파악하는 것은 아니다. 팀 내 구성원간 상호작용 구조를 이해하자.
성공한 Giver가 되려면?
반복적인 상호작용(일시적인 헌신이 아님)
지속성이 없는 무분별한 베풀기 금지 ==> 따뜻하기 위한 똑똑함
조직차원에서 장기적인 목표 인식
장기적 목표를 인식하고 행동함으로써 생기는 신뢰와 존경
조직내외적으로 긍정적 영향
진화 게임 이론
우리는 어떤 구조를 만들어야 하고, 어떤 요인들을 조정해야할까?
ex) 대화 빈도, 전략, 한 명 몰아주기, 배신하기 등등
팀원들의 협력 및 이타성을 이끌어내기 위한 어떤 구조를 구체적으로 만들어야 할까?
남여가 궁극적으로는 성공적인 번식을 일고자 한다는 사실을 전제.
다만 각자가 풀어야하는 문제와 방식이 다를 수 밖에 없다.
원인, 과정, 수반되는 결과에서의 차이가 있다.
남자가 풀어야하는 문제는? 여자가 풀어야하는 문제는?
당위에 대해 이야기하기 앞서 위는 팩트라는 것을 인지해두자.
부모투자 이론: 초기 투자 불균형의 확대 재생산(내가 부자라면 와이프를 누구로 둘까? 와이프 후보 입장에선 어떤 전략이 필요할까? ==> 빠르게 여러 사람에게 접근)
ㄴ 투자를 많이 한 성별은 까다롭고, 적게 한 성별은 선택을 받아야 하기에 경쟁을 해야함.
성 선택 이론: 투자를 적게 하는 성은 경쟁이 심하고, 투자를 많이 하는 성은 까다롭다.(성별 별 수명을 이거로도 설명하기도 함)
인간본성은 환경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발현된다.
환경 변화와 짝 선호에 있어서의 성차(배고픔 조건)
환경 변화와 자녀의 성별에 따른 선호 차이(경제적 어려움)
국가별 결혼제도의 다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