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06.21)
유저는 2주간 약 500명으로 많이 모았지만, 재방문율이 약했다. 마케팅이 중요한게 아니라 사용자가 진짜로 만족하는가? 가 중요한 듯
js와 html 하드코딩을 이용해 gpt의 도움을 받긴 좋았지만, 유지보수가 어려웠다.
render를 사용하며 15분간 접속이 없으면 꺼지는 구조가 앵간 거슬림. uptimerobot으로 모니터링 겸 살리면서 우회 중
사용자 데이터를 모으는 도구가 없다! 현재 로그만 간신히 찍어서 수동으로 일일히 조사하고 가공했던 것인데 위 데이터를 일간보고서처럼 정리해주면 좋을 듯. 현재 임시로 검색결과만 slack으로 보내고 있음
DB가 없어서 장점이기도 하나 사실 제일 좋은건 모든 데이터를 DB에 저장하여 빠른 속도로 제공하는 것. 임시로 json으로 처리하고 있으나 적용해볼 만 하다고 생각됨
현재 gpt기반 결과카드 생성인데 이 때 n8n 프롬프트 엔지니어링이 상당히 까다로웠음. temperature를 낮추어 어느정도 해결중이지만 속도도 느리고 안정성도 없고 api키값도 소모되기에 결국 답은 DB일듯 함.
현재 이어검색 기능이 단순 query 붙이기로만 해결 중. 이는 채팅으로 검색하는 유저와 이어검색 유저가 얼마나 있는지 비교 후 고도화 예정이라 그랬지만 (앞서 말했듯이 해당 수치 비교도 수작업해야하고..) 둘 다 기능적 완성도가 떨어짐
현재 구매버튼은 naver api사용하고있어서 나쁘진 않지만 api 횟수 제한도 있고, 그 이전에 현재 제품 이미지를 naver shopping api에 연동된게 아니라 naver search image를 사용하기에 제품 사진 차이가 존재함(중요)
자동차 같은 (네이버 쇼핑에서 판매안하는 제품)은 솔직하게 없다! 하면 되는데 유사도 1등을 뽑아오기에 부품을 보여줌. ex 테슬라 추천해줘 테슬라 방석 추천 등
속도가 너무 느림 db 필요
메인 UI 개선 필요. 실제 유저 중 대화형이라고 해서 검색에 안녕~하는 경우가 종종 있음. 현재 직관성이 매우 떨어지는 상태로 판단
UI/UX 수정 난이도가 굉장히 높음. 하드코딩에다가 html js css 분리에 일부분 n8n에서 코드를 유동적으로 가져오기에 매우 불안정한 구조. 확장성을 고려한 프론트엔트 기술 스택 도입 필요.
open API 키가 내 것이 아니라 해당 부분도 수정 필요
6/10 GPT 서버 오류가 발생하여 검색 속도가 40초->1분40초 정도로 늘어난 적이 있음. 금방 오류 복구 되었지만 타 서비스에 의존하는 형태는 안정성이 떨어져 보임. 하다못해 gpt응답 모니터링하다가 느려지면 gemeni같은 타 서비스로 바꾸는 구조도 좋아보임.
FLASK기반인데 js에서 api가져오는 정도라 불필요한 라이브러리가 많음. fast api도입 고민 필요.
GA4 GTM 기반 추적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위에 말한 이벤트 들을 해당 기술을 사용하면 보다 세밀히 추적이 가능할 듯 한데 잘 못쓰겠어서 바로 로그+수작업 메타로 진행해온 것.
GA4보고서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음. 맞춤형 보고서로 원하는 UI 구성해두면 좋을 듯.
SEO최적화가 제대로 안되고 있었음. 해당 부분 검토 필요. 정확히는 구글서치콘솔에 색인생성되지 않았고, 네이버서치어드바이저는 성공적으로 세팅되어있다는데 검색해도 잘 안뜸. 가끔 구글엔 github는 SEO최적화가 잘 되었는지 팀프로젝트 github는 뜨고, 주로 youtube가 뜸.
구글애즈 관련해서 키워드 광고 효율이 떨어졌음. 3건의 클릭이었지만 마지막 클릭이 800원 정도 했음. 키워드 최적화 필요.
현재 API떡칠 서비스라 시장성이 없기에(타 서비스 의존, 비용 등) 완전한 리팩토링 필요.
개발서버와 배포서버를 따로 github,render, n8n를 파서 사용하고 있었음. 뭔가 기술이 있을 듯 한데 확인 필요.
배포 시간이 docker도입하고 체감 상 더 오래걸리는 듯 함. 이유 확인 필요(render pipeline cost)
생각날 때 추가 예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