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기후‧기상 계열
1) 월
- 정의/단위 : 사고 발생 시점의 달(1–12, 정수).
- 산출 : 사고일(dt)의
dt.month
추출.
- 의의 : 계절별 수분공급·동결융해 주기가 다르므로 지반 연약화 패턴이 달라진다. 예컨대 하절기 집중호우·우기, 동절기 결빙·해빙으로 인한 지중응력 변화 등을 월 단위가 간접적으로 포착한다.
2) 강수량 합계 (mm)
- 정의 : 사고 월(또는 사고 30 일 전) 누적 강수량.
- 산출 : 기상청 ASOS 지점 값을 공간 보간해 사고 좌표에 매핑 후 월 합계.
- 의의 : 대량의 지표수가 카르스트(용식) 빈 공간에 급격히 침투하면 토사 세굴 및 지반붕락 확률이 급증한다
3) 사고당일 일교차 (℃)
- 정의 : 사고일 최고기온 – 최저기온.
- 산출 : ASOS 일자료 이용.
- 의의 : 하루 동안의 급격한 수축·팽창은 지표 균열을 만들고, 빗물 침투 경로를 확대한다. 동결융해 지역에서는 해당 효과가 배가된다
4) 사고 전 3 일간 일교차 평균 (℃)
- 정의 : 사고일 포함 직전 3 일의 일교차 평균.
- 의의 : 단일 일교차보다 누적 열적 피로(thermal fatigue)를 나타내며, 반복된 팽창·수축이 지반 강도를 저하시킨다.
2. 지질·수문 물리·화학 계열
5) 지층
- 정의 : 사고 지점이 위치한 지질도 상의 암종/퇴적층 구분(범주형).
- 의의 : 석회암·석고·소금층 등 용식성 암석은 싱크홀 감수성이 높고, 화강암·편마암은 상대적으로 낮다.
6) 사건_당일_수위 (m)
- 정의 : 사고일 지하수 관측정(GIMS) 수위.
- 의의 : 낮은 수위는 지중 공동을 지탱하던 양수력(buoyancy)을 상실시켜 천공붕락을 촉진한다.
7–8) 수위_최대차, 수위_변동성
- 정의 : 분석 기간(± 6 개월) 수위 최고–최저(최대차)와 표준편차(변동성).
- 의의 : 연구에 따르면 수위가 급속히 하강할 때 음압이 발생해 토사 탈락 → 피복붕괴(cover-collapse) 싱크홀이 발생한다 ([link.springer.com][3]).
9–11) 수온 관련(사건_당일_수온, 수온_최대차, 수온_변동성)
- 정의 : 관측정 수온(°C) 및 변동 폭·표준편차.
- 의의 : 수온은 지하수 흐름 속도·기원(심층↔천부)을 나타내는 간접 지표. 급격한 온도 변화는 새 유입로(균열·공동) 활성화를 의미할 수 있다.
12–14) EC 관련(사건_당일_EC, EC_최대차, EC_변동성)
- 정의 : 전기전도도(μS cm⁻¹) 실측값과 변동치.
- 의의 : EC는 용존 이온 농도를 대변한다. 강우 후 EC가 급락하면 신선 물 유입·세굴이 진행 중임을 시사하고, 반대로 급상승은 함몰 후 심부 지하수가 노출됐음을 뜻한다.
3. 굴착·토목 계열
15) 굴착깊이 (m)
- 정의 : 반경 500 m 내 공사 중 가장 깊은 굴착공 깊이.
- 의의 : 얕은 공동·지하 매설물 상부를 직접 교란하며 지반응력을 재분배한다.
16) 굴착구경 (m)
- 정의 : 동일 공사의 굴착 구경/폭.
- 의의 : 큰 직경은 대량 토사 제거 → 주변 지반에 공극수 압력 변화 유발.
17) depth_ratio
- 정의 : 굴착깊이 ÷ 굴착구경 (무차원).
- 의의 : 같은 깊이라도 슬림형(비 < 1)·광구형(비 > 1)의 안정성 차이를 반영. 얕고 넓은 굴착은 지상 침하, 깊고 좁은 굴착은 심부 공동 붕괴와 연관된다
18) excavation_volume
- 정의 : 굴착을 원통으로 가정한 부피 = π·(구경 / 2)²·깊이 (m³).
- 의의 : 제거/재매립 토공량이 지반 재압밀(rate of re-compaction)·수위 변동 폭에 직접 비례.
4. 지하 구조물·교통 계열
19) 지하철 유무 (0·1)
- 정의 : 사고 지점 500 m 이내 역 존재 여부.
- 의의 : 복선 터널・지하역은 굴착 후 장기간 배수·양수 시스템이 가동되며 국지적 수위 저하·토사 유실을 초래할 수 있다.
20) 지하철 개수
- 정의 : 동일 반경 내 역개수.
- 의의 : 지중 구조물 밀도가 높을수록 ‘다중 공극-지하수-진동’ 복합 영향으로 싱크홀 확률 상승.
5. 타깃 변수
21) 싱크홀 발생
- 정의 : 1 = 사건 발생, 0 = 비발생.
- 의의 : 분류(또는 불균형 데이터를 고려한 이진 예측) 모델의 종속 변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