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건을 찾기위해 집정리를 하고, 자리에 앉으니 몇년째 책꽃이에 들어있는 클린코드(Clean Code) 가 보였다.지난달 팩트로 얻어맞은 면접에서 멋있는 개발자가 되고 싶다고 하셨는데, 이를 위해서는 어떤 노력을 해야할까요?라는 질문의 대답으로 3가지를 했는데 그 중에서
Command and Query Responsibility Segregation직역: 커맨드와 쿼리로 책임을 분리한다.Command: Create, Update, Delete 작업Query: Read 작업읽기 작업와 CUD 작업을 위한 모델을 분리다양한 수준에서 분리할
LTS: 3년마다 출시최신 LTS: 17최신버전: 18마지막 공식 32bit람다: interface(파라메터) -> {구현}개선된 날짜, 시간 APIInterface Default Method: Interface의 메서드도 내용을 작성할 수 있음JShell: 대화형 도
Java를 사용하면서 자연스럽게 아래처럼 사용해왔다.이렇게 입력하고 나면 IDE에서 너, 이거 import 해야되지 않아? 라고 물어봐왔고, IDE 기능을 사용해 import 하는 형태로 사용했다.이렇게 단순히 사용해 온 Java의 Collection에 대해 정리해보자
아무튼, 코테 준비로 이런저런 자료를 보던 중 편해보이는 코드를 발견해 정리해보기로 했다.지금까지는 조건에 len(\[]) == 0 처럼 길이를 비교하도록 작성했다.조건문에 iterator(리스트 등)을 바로 사용한다면?해당 객체가 비어있는 경우는 False로 간주내용
'파이썬 알고리즘 인터뷰'를 공부하던 중 안정정렬 vs 불안정정렬 이라는 키워드를 발견했다.이건 뭘까?리스트 내 중복된 원소들의 순서가 정렬 이전과 동일함을 보장하는 정렬병합정렬리스트 내 중복된 원소들의 순서가 정렬 이전과 동일함을 보장할 수 없는 정렬퀵정렬https&
코딩을 하다보면 '아.. 이런게 됬으면' 하는 작업은 노가다로 로직에 녹이는 경우가 꽤 있다.코테라던가... 코테라던가... 코테라던가...이럴때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collections에 대해 알아보자.양 끝에 원소를 추가, 삭제하는 경우에 일반 list보다 빠
docker tag로 마구마구 태그를 추가한 다음 이 상태에서 docker push -a 로 한번에 올릴수도 있다. 난 왜 docker image ls에서 어려 개가 뜬다고 당황한 걸까? 그냥 해보면 되는거 였는데...
배경 토이프로젝트를 ECS Fargate에 배포 Github Action으로 ECR 배포까지는 성공 ECS 배포를 위한 Task Definition, 클러스터, 서비스 등 작성 현상 이미지 Pull에 실패한다는 것은 알겠다. 나중에 알게된 사실이지만 인증실패 가 아
개인적으로 속도보다는 여기저기 유유자적 다니는걸 더 좋아한다. 이런저런 Youtube 바이커 채널 중 비슷한 성향의 채널을 몇개 발견했고, 라이딩 코스를 짤때 참고(혹은 거의 똑같이) 다니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