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메뉴 리뉴얼

GomHyeok·2022년 4월 27일
0

📒활용개념

  1. DFS를 활용하여 조합 만들기
  2. compare함수를 만들어 원하는 순서로 정렬(sort)하기.
  3. Map Container를 통해 각 조합의 개수 저장.

📌문제설명

레스토랑을 운영하던 스카피는 코로나19로 인한 불경기를 극복하고자 메뉴를 새로 구성하려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기존에는 단품으로만 제공하던 메뉴를 조합해서 코스요리 형태로 재구성해서 새로운 메뉴를 제공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어떤 단품메뉴들을 조합해서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면 좋을 지 고민하던 "스카피"는 이전에 각 손님들이 주문할 때 가장 많이 함께 주문한 단품메뉴들을 코스요리 메뉴로 구성하기로 했습니다.

단, 코스요리 메뉴는 최소 2가지 이상의 단품메뉴로 구성하려고 합니다. 또한, 최소 2명 이상의 손님으로부터 주문된 단품메뉴 조합에 대해서만 코스요리 메뉴 후보에 포함하기로 했습니다.

문제
각 손님들이 주문한 단품메뉴들이 문자열 형식으로 담긴 배열 orders, "스카피"가 추가하고 싶어하는 코스요리를 구성하는 단품메뉴들의 갯수가 담긴 배열 course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스카피"가 새로 추가하게 될 코스요리의 메뉴 구성을 문자열 형태로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orders 배열의 크기는 2 이상 20 이하입니다.
  • orders 배열의 각 원소는 크기가 2 이상 10 이하인 문자열입니다.
    - 각 문자열은 알파벳 대문자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 각 문자열에는 같은 알파벳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course 배열의 크기는 1 이상 10 이하입니다.
    - course 배열의 각 원소는 2 이상 10 이하인 자연수가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 있습니다.
    - course 배열에는 같은 값이 중복해서 들어있지 않습니다.
  • 정답은 각 코스요리 메뉴의 구성을 문자열 형식으로 배열에 담아 사전 순으로 오름차순 정렬해서 return 해주세요.
    - 배열의 각 원소에 저장된 문자열 또한 알파벳 오름차순으로 정렬되어야 합니다.
    - 만약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메뉴 구성이 여러 개라면, 모두 배열에 담아 return 하면 됩니다.
    - orders와 course 매개변수는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이 되도록 주어집니다.

문제에서 강조한 부분을 확인하면 문제에서의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모든 조합이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가장 많이 함께 주문된 메뉴만이 answer에 들어갈 수 있다.

📌구현

#include <string>
#include <vector>
#include <map>
#include <algorithm>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조합이 종류별로 얼마나 주문되었는지 저장하는 Map container
map<string, int> combi;

//조합을 만드는 DFS함수
void dfs(string od, vector<string>& com, int n, vector<char> order){
    if(n==order.size()){
        if(od.size()>=2){
            com.push_back(od);
        }
    }
    else{
        dfs(od, com, n+1, order);
        od+=order[n];
        dfs(od, com, n+1, order);
    }
}

//주문 횟수로 내림차수로 정렬하기 위한 compare함수
bool cmp(pair<string, int> a, pair<string, int> b){
    return a.second>b.second;
}

vector<string> solution(vector<string> orders, vector<int> course) {
    vector<string> answer;
    
    for(int i=0; i<orders.size(); i++){
        vector<char> order;
        vector<string> combination;
        //각 주문별 조합 만들기 위해 각 메뉴 분리
        for(int j=0; j<orders[i].size(); j++){
            order.push_back(orders[i][j]);
        }
        sort(order.begin(), order.end());
        string s = "";
        s+=order[0];
        //조합 생성->combination에 저장
        dfs(s, combination, 1, order);
        dfs("", combination, 1, order);
        
        //combi(map)을 통해 조합이 기존에 있다면 주문 횟수 추가, 없다면 새롭게 메뉴 추가
        for(int j=0; j<combination.size(); j++){
            if(combi.count(combination[j])){
                combi[combination[j]]++;
            }
            else{
                combi[combination[j]]=1;
            }
        }
        
    }
    
    //combi에 있는 메뉴를 정렬하기 위해 vector<pair>에 다시 넣는 과정
    vector<pair<string, int> > mp;
    
    for(auto iter : combi){
        if(iter.second>1)
            mp.push_back(iter);
    }
    
    //주문 횟수에 따라서 정렬
    sort(mp.begin(), mp.end(), cmp);
    
    //문제의 조건에 부합하고 가장 많이 주문된 메뉴만 answer에 추가
    for(int i=0; i<course.size(); i++){
        int max=0;
        for(int j=0; j<mp.size(); j++){
            if(mp[j].first.size()!=course[i]){
                continue;
            }
            else if(max==0){
                answer.push_back(mp[j].first);
                max=mp[j].second;
            }
            else if(max==mp[j].second)
                answer.push_back(mp[j].first);
            else
                break;
        }
    }
    
    //answer사전순으로 정렬
    sort(answer.begin(), answer.end());
    
    return answer;
}

📌주의점

  • 문제에서 가장많이 주문된 메뉴만 넣으라는 말을 찾지 못해 조건에 맞는 모든 메뉴를 넣었다가 틀렸던 문제다.
  • 문제의 난이도가 올라갈 수록 map, vector등 여러가지 container가 사용되고 있기 때문에 각 container에 어떤 함수가 있는지 알아야한다.
profile
github : https://github.com/GomHyeok/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