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소개서] 동료와 함께 -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임기영 Greety

Goyoung2·2024년 6월 16일
1
post-thumbnail

Name. 임기영, Im Geeyoung, Greety
Birth. 1991.12.05
LinkedIn. https://www.linkedin.com/in/geeyoung-im-dev
Blog. https://velog.io/@goyoung2
Github. https://github.com/imki123
Email. popping2606@gmail.com


# 자기소개

👋 안녕하세요! 프론트엔드 엔지니어 임기영 Greety입니다. 긍정적이고 열정적이며 호기심이 많고 도전을 좋아합니다. 항상 친절하고 배려하는 성격으로 동료들과 두루두루 잘 어울리며 함께 고민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는 것을 좋아합니다.

💻 저는 주로 React, Next.js, Typescript를 사용하여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개발해왔습니다. JSP 엔지니어와 FE 엔지니어로 7년 이상의 경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동료와 함께 문제를 해결하고 제품 성능과 개발 생산성을 높이는 일을 좋아합니다.

✨ 저는 제품, 동료, 성장에 관심이 많습니다.
엔지니어는 제품으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합니다. 엔지니어링을 통해 가치있고 지속가능한 제품을 만들기 위해 노력합니다.
큰 일은 혼자 이뤄낼 수 없다고 생각합니다. 서로를 피드백 해주는 훌륭한 동료들과 함께해야 더 높은 성취를 달성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개인과 팀의 성장을 통해 미래를 준비합니다. 틈틈이 개발 서적을 읽고, 신규 기술을 찾아보고, 개발 블로그 운영, 사이드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동료와 정보를 공유하고 함께 성장해 나갑니다.

🙌 겸손, 존중, 신뢰의 자세로 좋은 동료들과 함께 현실의 문제를 해결해나가며 세상에 좋은 영향을 주는 엔지니어가 되기 위해 노력합니다.

# 기술스택

  • 주로 사용하는 기술스택은 React, Next.js, ReactNative, Typescript 입니다.
  • 그리고 ReactQuery, Redux, Zustand, Tailwind, Emotion, Sass, Linaria, Storybook, Node.js, Express, MongoDB, Playwright, Jest, RTL, Cypress, Javascript(ES6), HTML5, CSS3, ESLint, Prettier, Webpack, Babel, Vite, Github Actions, Turborepo, Lerna 등 대부분의 프론트엔드 스택을 다룹니다.

# 경력(7년+)

  • 대학 및 군복무: 가톨릭대 컴퓨터공학과를 졸업하고 ROTC 장교로 임관하여 6년 넘게 파주 최전선과 육군본부에서 군복무를 했습니다. 개발자가 되기로 마음먹고 대위로 전역했습니다.
  • 육군 정보체계관리단(2017.09~2020.06, 2년 10개월): 군복무 중 3년은 육군본부 정보체계관리단에서 JSP 웹 개발을 담당했습니다. 육군 휴드림 숙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2억 상당의 예산 절감 효과를 냈습니다. 군에 필요한 다양한 웹 프로그램을 개발했고, 웹 호환성 TF 팀장 역을 맡아 브라우저 호환성 개선 업무를 진행했습니다.
  • 그라운드엑스(2021.01~2023.03, 2년 3개월):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에서 블록체인 FE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클립 블록체인 지갑을 개발해 200만명 이상의 사용자를 유치했습니다. 또 토큰 스왑, 드롭스 NFT 거래 플랫폼 등을 개발하여 1000억의 매출을 달성했습니다.
  • 해치랩스(2023.05~2024.04, 1년): 해치랩스는 블록체인 보안 감사 및 블록체인 지갑, SDK 서비스 회사입니다. Henesis 및 FaceWallet 팀에서 FE 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기업용 자상자산 관리 프로그램인 Henesis 2.0 대시보드와 개인용 지갑인 FaceWallet, FaceWallet SDK를 개발하고 개선했습니다.
  • 미소(2024.05~현재): 미소는 국내 1위 홈서비스 기업입니다. 청소 서비스로 시작하여 이사, 렌탈, 인터넷 등 집에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시니어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서 리액트와 리액트네이티브를 이용한 웹/앱 서비스를 엔지니어링하고 있습니다. 또개발뿐 아니라 제품 설계와 채용, 교육에도 힘쓰며 프론트엔드 챕터 미팅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 상세 업무경력

미소 (5개월+)

홈 서비스 제품인 미소 앱의 전반적인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링, 개발, 채용

CRM 툴 클레버탭 도입

2024.11

  • 클레버탭은 고객 관계 관리 도구로서 고객과의 관계를 잘 다루기 위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앱푸시알림, 인앱팝업, 네이티브디스플레이, 세그먼트, 캠페인 등의 다양한 기술을 적용하여 고객과의 관계를 더 매끄럽게 이어주는 강력한 솔루션입니다.

앱 로딩 최적화

2024.10

  • 기술 스택: React Native, Typescript, AsyncStorage, zustand, zustand-persist

미소방문 이사 서비스 개발

2024.07 - 2024.10

  • 기술스택: React Native

앱 배포 프로세스 자동화

2024.06 - 2024.07

  • 기술 스택: Github Actions, Fastlane, Play Store, App Store, Firebase App distribution, node.js
  • 패스트레인을 이용하여 앱 배포를 자동화한 프로젝트입니다. 앱 배포 절차는 꽤 번거롭고 많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플랫폼 별 앱 스토어에 의존성을 가지고 있어서 요구한 인터페이스를 만족시켜야 배포가 가능합니다. 테스트, 빌드, 인증, 업로드, 심사, 배포, 버전관리의 배포 프로세스를 구축하고 자동화시켜서 생산성 개선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미소 앱, 미소 파트너 앱 프론트엔드 개발

2024.05 - 현재

  • 기술 스택: ReactNative, Redux, typescript, eslint, husky, jest, ReactTestingLibrary 등
  • 프론트엔드 코어 엔지니어링: 개발 생산성과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코어 기능을 고민하고 개선합니다.
    • 코드 리뷰 문화 구축
    • 협업 문화 구축
    • 공통 기능 문서화
    • 자동화 테스트 구축
    • 개발 환경 설정 자동화
    • 앱 배포 프로세스 자동화
  • 앱 개발: 주요 서비스인 미소 앱, 미소 파트너 앱을 리액트네이티브를 사용하여 개발하고 유지보수합니다.

해치랩스주식회사 (1년)

블록체인 보안 감사, 블록체인 지갑, 지갑 SDK 서비스 회사

FaceWallet FE 개발 / 개선

2023.10 - 2024.05

  • 기술스택: React, React Native, Typescript, ethers, react-router, Emotion, Recoil, ReactQuery, TurboRepo, Github Actions, Sentry, Amplitude, playwright, Jest, AntDesign, vite, webpack, rollup
  • FaceWallet은 B2B2C 가상자산 지갑 프로그램입니다. 기업에게 FaceWallet SDK를 제공하여 제품에 FaceWallet을 연동하게 하고, 사용자에게는 FaceWallet standalone을 제공하여 지갑을 통해 가상자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SDK 개발: FaceWallet을 연동할 수 있는 face-sdk를 제공합니다. 기업 및 사용자들이 손쉽게 FaceWallet을 연동하여 가상자산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웹 뿐만 아니라 react-native, unity 환경도 지원합니다.
  • 개발 생산성 향상: CI/CD 및 스크립트를 개선하여 개발 프로세스를 단축시키고 빌드 및 배포 시간을 30% 수준으로 낮추었습니다. 이를 통해 제품 생산성과 안정성이 크게 향상됐습니다.
  • 지속가능한 코드 개선: 제품이 지속가능할 수 있도록 코드를 개선하는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변수나 함수를 명확하고 예측 가능한 이름으로 변경하여 코드 가독성을 크게 높였습니다. 또 재사용되는 코드를 추출하여 하나의 원장으로 관리하도록 하여 불필요한 작업이나 실수를 줄였습니다.
  • testnet/mainnet 통합: FaceWallet을 testnet/mainnet 환경 구분 없이 통합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사용하도록 개선했습니다. SDK 전체 설계를 리팩토링하는 작업으로 6만 줄의 코드를 수정했고 레거시 코드를 줄여 제품 성능을 높였습니다. 환경 통합으로 운영비용 절감을 할 수 있었습니다.
  • E2E 구축 및 제품 리팩토링: Playwright를 이용해서 End to End 테스트를 설계하고 구축했습니다. 실제 사용자의 입장에서 테스트를 작성하여 신뢰감 있는 제품을 만들었습니다. 신뢰할 수 있는 테스트 덕분에 빠른 피드백을 얻을 수 있었고 과감히 리팩토링을 진행 할 수 있었습니다.

Henesis 2.0 대시보드 FE 개발 / 출시

2023.05 - 2023.10

  • 기술스택: Next.js(v14, app router, RSC), Typescript, tailwind, react-hook-form, ReactQuery, Jotai, React Aria, Github Actions, Sentry, playwright, vitest
  • Henesis 2.0 대시보드는 국내 기업용 가상자산을 관리하는 웹 프로그램입니다.
  • 프로젝트 환경 구축: 초기 설계에 참여하여 대시보드에 적합한 기술 스택을 선정하고 UI/UX 설계 및 플로우 작성에 기여했습니다.
  • 제품 성능, 개발 생산성, 사용자 경험 향상: 최신 기술인 Next.js 14버전을 사용했습니다. app router, RSC, use 훅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제품에서 다양한 이점을 누릴 수 있었습니다.
  • 분할 키 및 암호 로직 관리: 블록체인 지갑의 보안을 위해 사용자의 지갑 키를 FE에서 관리합니다. FE에서 키를 분할하여 암호화하고 이중 일부를 서버에 전송하여 관리합니다. 또 키를 여러개로 분할하여 여러 사용자에게 권한을 부여하고 n of m 정책을 사용해서 여러명의 서명을 받을 수 있는 기능을 만들었습니다.
  • 웹 접근성 향상: ARIA 표준을 구현하여 다양한 사용자들의 웹 접근성을 향상시켰습니다. React ARIA 컴포넌트를 주로 사용했고 react-hook-form과 결합하여 form을 관리하고 다양한 사용자 인터랙션을 처리할 수 있는 컴포넌트를 개발했습니다.
  • CI/CD 자동화: Github Actions를 사용하여 빌드와 배포를 자동화했습니다.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였고 사람 실수를 줄일 수 있어서 제품 안정성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 E2E 테스트 구축: 제품을 사용자 관점에서 테스트하는 E2E 테스트를 구축하였습니다. playwright를 사용하여 E2E 테스트를 작성했고 크론잡을 통해 주기적으로 E2E를 실행하여 제품의 결함을 찾고 실시간 피드백을 받도록 환경을 구축했습니다.
  • Sentry 데이터 수집: Sentry를 이용하여 브라우저에서 발생하는 오류와 사용자의 로그를 수집합니다. 디버깅을 용이하게 하고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경을 구축헀습니다.
  • 스프린트 개발: 2~3주 단위의 스프린트 개발을 통해 잦은 주기로 사용자에게 제품을 제공하고 기민하게 요구사항에 대응할 수 있는 개발 프로세스를 갖추었습니다. 잦은 출시와 회고를 통해 긍정적인 피드백을 할 수 있는 문화를 갖추었습니다.

주식회사 그라운드엑스 (2년 3개월)

카카오의 블록체인 자회사. 블록체인 지갑 “클립” React FE 개발

Klip Mobile 2.0 FE 개발 / 출시

2022.12 - 2023.03

  • 네이티브 하이브리드 앱 FE 개발
  • 프로젝트 환경 구축
    • React, react-query, typescript, emotion, babel, webpack, storybook
  • 아토믹 디자인, 스토리북 설계, 구현
  • 컨테이너-프리젠터 패턴 적용
  • UI/UX 개발
  • 네이티브-웹 브릿지 설계, 구현
  • 프로젝트 환경 개선
    • npm -> yarn berry: npm의 복잡한 의존성 관리를 yarn berry의 zero-install, PnP를 사용하여 빌드 속도, 개발 효율 개선
    • webpack -> Vite: Vite로 빌드툴을 변경하여 빌드 속도 개선
    • Emotion -> Linaria: Linaria의 zero-runtime css-in-js를 적용 css-in-js의 장점을 활용하면서 로딩 속도 개선
    • redux -> Zustand: redux의 복잡한 상태관리와 코드 패턴, 보일러플레이트를 Zustand로 단순화하여 개발 효율 개선
    • redux-saga -> React-query: saga의 복잡한 보일러플레이트를 제거하였고 react-query의 캐싱 기능과 api 상태관리 사용하여 개발 효율 개선. ErrorBoundary, Suspense를 사용하여 에러코드, 비동기처리를 효율적으로 개선
  • 느낀점: 하이브리드 앱에 들어갈 마이크로 웹 서비스를 새롭게 구축했고, 적합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함으로써 개발 효율성과 제품 성능을 향상 시킬 수 있었습니다. yarn berry, Vite를 적용하여 빌드 및 배포 시간을 20% 수준으로 대폭 줄일 수 있었습니다. Linaria를 적용하여 컴포넌트 렌더링 성능을 50% 향상 시켰습니다. Zustand, React-query, Typescript 등을 적용하여 개발 효율을 향상 시켰습니다.

MultiChain & OpenWallet FE 개발 / 출시

2022.09 - 2022.12

  • 클레이튼 체인 뿐만 아니라 다른 체인을 확장 시킬 수 있는 멀티체인 & 오픈월렛 서비스 개발
  • 이더리움 체인 추가
  • UI/UX 개발
  • 느낀점: 기존의 클레이튼 체인만으로는 다양한 고객들의 니즈를 만족시킬 수 없었습니다. 클레이튼 외에도 이더리움 등 다양한 체인을 적용함으로써 더 다양한 서비스를 확장시킬 수 있었고, 제품의 가치를 높이면서 고객의 만족까지 모두 얻을 수 있는 일석이조의 프로젝트였습니다.

Klip Swap FE 개발 / 출시

2022.07 - 2022.09

  • “클립 스왑” 출시, 스왑스캐너와 협력하여 클레이튼 체인의 FT를 최저 수수료로 손쉽게 교환
  • 프로젝트 환경 구축
    • React, react-query, typescript, emotion, babel, webpack
  • 웹뷰 유저 세션 설계, 구현
  • UI/UX 개발
  • 스왑 API 설계, 구현
  • 느낀점: swapscanner 사와 원활한 협업을 통해 빠르게 스왑 서비스를 배포할 수 있었습니다. 모든 기능을 직접 구현하기보다 전문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와 협업하고 공유하면서 더 많은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Klip App FE 개발 / 출시

2022.01 - 2022.07

구글플레이 클립 링크

앱스토어 클립 링크

  • 모바일 하이브리드 앱 “클립” 출시
  • 프로젝트 환경 구축
  • OTP 기능 설계, 구현
  • 네이티브 브릿지 설계, 구현
  • UI/UX 개발
  •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 Javascript → Typescript
    • scss → emotion
    • class component → functional component
    • redux-saga → react-query
  • 느낀점: 클립을 카카오톡 내부뿐만 아니라 단독 앱으로 출시하는 프로젝트였습니다. 앱에 맞추어 다양한 기능을 추가, 수정했고, 기존의 레거시 코드를 리팩토링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되었습니다. 리팩토링을 통해 코드 퀄리티가 높아졌고, 개발 효율성과 제품 성능을 함께 향상 시킬 수 있었던 프로젝트였습니다.

Klip FE 개발 / 출시

2021.01 - 2021.12

카카오톡 클립 링크

  • 블록체인 지갑 “카카오톡 클립” 100만 사용자 달성
  • “클립 드롭스” 출시, 21년 NFT 경매 및 거래 매출 1000억 달성
  • 클립, 클립드롭스 블록체인 FE 개발
  • 상태 관리 개선
    • 리덕스 스토어 최적화
    • 리덕스 사가 로직 개선
  • 라우팅 방식 개선
    • 메인페이지를 거쳐 타겟으로 이동 하던 라우팅 방식을 해당 페이지로 바로 이동하도록 개선
  • 레거시 코드 리팩토링
    • Javascript → Typescript
    • scss → emotion
    • class component → functional component
    • redux-saga → react-query
  • 디자인 시스템 개발
    • 공통 스타일, 버튼, 인풋, 이미지, 모달, 테이블, 리스트, 레이아웃 등
  • 느낀점: 카카오톡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암호화폐지갑 서비스인 클립입니다. 리액트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초창기에 개발되었던 레거시 코드를 많이 개선했습니다. 라우팅 방식을 개선했고, 리덕스 사가 코드를 정리하여 개발 효율을 높혔습니다. 또 틈틈이 레거시코드를 Typescript, emotion, functional component, react-query로 리팩토링하여 개발 효율과 제품 성능을 모두 높이기 위한 수정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코드 개선과 리팩토링을 통해 지속적인 개발이 가능해졌고, 개발 효율이 높아져 더 적은 노력으로도 개발이 가능해졌습니다.

육군본부 정보체계관리단 (2년 10개월)

육군의 웹 정보체계 개발. JSP, jQuery, 스프링 웹 개발

Windows10전환TF Lead

2018.04 - 2018.12

  • Windows7 서비스 종료 대비하여 다양한 체계를 Windows10으로 전환하는 6명으로 구성된 TF 팀장 임무 수행
  • 70여개 체계를 Windows10, Chrome, Edge, IE11에서 호환되도록 크로스 브라우징 이슈 해결
  • 크로스 브라우징, ES6, HTML5, CSS3 적용, 리팩토링, 라이브러리 오류 개선
  • 느낀점: 웹이 발점함에 따라 표준화되고 기능들이 수정되면서 구식이 된 라이브러리들이 정말 많았습니다. 개발을 할 때 호환성을 고려하지 않고 개발하면 기술부채가 쌓이게 되어 개발 효율이 저하되고 결국엔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됨을 깨달았습니다.

Mobile Web Dev

2017.09 - 2020.06

육군휴드림 링크

  • Spring, JSP, jQuery, Java, Oracle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웹, 모바일 체계 개발 및 유지보수
  • 육군에 흩어져 있는 100여개의 복지 시스템을 총괄하는 모바일 예약체계 “육군휴드림” 개발, 2억 상당의 예산 감소 효과
  • 오픈소스 프로그램 도입, Git 버전관리 도입, 리액트 도입
  • TOPCIT 수상, 공개SW개발대회 수상
  • 느낀점: 육군 정체단에서 다양한 웹 체계들을 개발했습니다. 설계, 환경 구축, 백엔드, 프론트엔드, 빌드, 배포를 모두 경험하면서 웹의 전반적인 개발 프로세스를 배울 수 있었습니다. 어떻게 분업을 하고, 개발을 해야 효율이 높아지고 고품질의 서비스를 생산할 수 있는지 배울 수 있던 시간이었습니다.

# 사이드 프로젝트

고영이 메모장

2022.10 - 2022.12

  • Rich 에디터가 불편해서 만든 Unrich 에디터 메모장 앱
  • 소셜로그인, 메모 작성, 자동 저장, 실행취소, 되돌리기, 화면 잠금, 다크모드 기능 등
  • Next.js, React, ReactQuery, Typescript, Emotion, MaterialUI, open-color, Github, gh-pages, Node, Express, Render, MongoDB, JWT, OAuth
  • 앱 링크 | Github 링크
  • 느낀점: 텍스트를 손쉽게 수정, 복사, 붙여넣을 수 있도록 메모장의 핵심 기능에 집중한 메모장앱입니다. Next.js 프레임워크를 이용하여 성능 최적화, CSR, SSG, SSR, 라우팅 등 훌륭한 기능들을 경험할 수 있었고 제품 성능 개선과 개발 효율성을 향상하는데 도움이 됐습니다.

고영이메모장

고영이 가계부

2022.05 - 2022.09

  • 쉽고 편리하게 사용하는 개인 가계부 앱
  • 소셜로그인, 가계부 작성, 가계부 유형 관리, 시트 종합 기능 등
  • React, ReactQuery, Typescript, Emotion, MaterialUI, open-color, Github, gh-pages, Node, Koa, Heroku, Render, MongoDB, JWT, OAuth
  • 앱 링크 | Github 링크
  • 느낀점: 리액트로 간편하게 사용할 가계부 앱을 만드는게 목표였습니다. 가계부의 데이터의 구조, API를 어떻게 설계할지 많은 고민을 했고 설계 능력이 향상됨을 느꼈습니다. 또 데이터를 종합하여 유의미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가계부 관리에 도움이 되도록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고영이가계부

고스토리북

2023.01 - 2023.02

  • 자주 사용하는 컴포넌트를 스토리로 제작하여 파라미터를 변경해가며 상황별 UI를 손쉽게 테스트 가능
  • npm에 배포하여 손쉽게 다른 프로젝트에서 활용 가능
  • Storybook, React, Typescript, Emotion, open-color, Github, gh-pages, npm
  • 앱 링크 | Github 링크 | npm 링크
  • 느낀점: 자주 사용하는 UI 컴포넌트들을 제작하며 재미를 느꼈고, 컴포넌트의 성능과 사용성을 고려하여 어떻게 컴포넌트를 설계하면 좋을지 배울 수 있었습니다. npm에 패키지를 배포하는 경험을 통해 버전관리의 중요성을 배웠습니다.

고스토리북

세이프홈즈

2021.09 - 2021.12

  • 전세사기를 방지하고 소비자들이 더 쉽고 안전하게 집을 구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부동산 연계 앱
  • 부동산 권리분석, 보증보험 가입, 등기부등본 조회, 건축물대장 조회 등
  • React, ReactRouter, Redux, redux-tool-kit, Sass, AntDesign, Restful API, Django
  • 구글플레이 링크 | 앱스토어 링크

세이프홈즈

개인 블로그

2020.08 - 2020.12

  • 리액트로 직접 제작한 개인 블로그 앱
  • 기존 블로그들과 차별화된 나만의 블로그를 제작해보자 라는 생각으로 개발함
  • 다양한 기기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반응형 디자인 사용, 검색을 위해 SEO 적용
  • 글쓰기, 텍스트 꾸미기, 이미지 첨부, 글관리, 소셜로그인, 회원가입, 댓글 기능 등
  • React, ReactRouter, ContextAPI, Sass, MaterialUI, open-color, Quill, SEO, Github, gh-pages, Node, Koa, Heroku, Render, MongoDB, JWT, OAuth
  • 앱 링크 | Github 링크
  • 현재는 블로그 이전으로 서비스를 종료했고 깃헙에 리포지토리가 남아있습니다.

코딩블로그

Interactive Coding

2020.11 - 2020.11

  • HTML canvas를 활용하여 만든 상호작용 디자인 앱
  • Bounce, Night, Ripple, TimeSpace, Egg 다섯개의 상호작용 작품을 아름다우면서도 재미있게 표현함
  • 구글의 Interactive Developer로 활동하시는 김종민님의 영상을 보고 영감을 얻게되어 개발함
  • HTML5, Javascript, canvas, Github, gh-pages, 반응형 디자인
  • 앱 링크 | Github

인터랙티브코딩

Catbook

2020.05 - 2020.05

  • 고양이와 강아지의 이미지와 정보를 검색해주는 귀여운 앱
  • ReactNative와 Expo를 활용하여 web, aos, ios를 한번에 개발할 수 있으며 빌드와 배포가 매우 쉬움
  • 구글 번역 api를 활용하여 로케일 언어에 맞춰 간단한 번역 제공
  • ReactNative, Expo, Google Cloud Translate, Heroku, Render, Github, gh-pages
  • 앱 링크 | 구글플레이 링크 | Github
  • 현재는 구글 플레이 정책으로 앱을 내렸고 웹서비스와 깃헙 코드가 남아있습니다.

캣북

OnAndOff

2020.10 - 2020.11

  • 실시간 양방향 통신을 지원하는 ON/OFF 게임, 채팅 앱
  • Socket.io를 이용하여 웹 소켓을 사용, 실시간 통신이 가능하게 함
  • HTML, Javascript, github, gh-pages, Node, Express, Socket.io, CORS, Cookie, RESTful API, Heroku, Render
  • 앱 링크 | Github
  • 현재는 블로그 이전으로 서비스를 종료했고 깃헙에 리포지토리가 남아있습니다.

온앤오프

빠른주차 바른주차

2019.10 - 2019.10

  • 육군 공개SW 개발대회에서 수상한 주차장 관리 앱
  • 개발기간이 3일로 아주 짧아 아이디어 중심의 개발을 해야 했던 대회
  • React, RestfulAPI, 반응형 디자인
  • 앱 링크 | Github

빠른주차바른주차


# 상세 기술스택

  • Frontend:
    • HTML5, CSS3, Javascript, Typescript
    • React, Next.js, react-hook-form, ReactQuery, ReactRouter, Zustand, Recoil, Jotai, Redux, ReduxSaga, Axios, immer
    • Tailwind, Emotion, StyledComponent, Linaria, Sass, StyleX
    • ReactNative, Expo
    • npm, yarn, yarn berry, pnpm, Webpack, Babel, Vite, Turborepo, Lerna
    • Eslint, Prettier, husky
    • Sentry, Amplitude
  • Test: Playwright, Jest, ReactTestingLibrary, Mocha, Chai, Cypress
  • Design: Figma, Storybook, React Aria, AtomicDesign, MaterialDesign, AntDesign, OpenColor
  • Backend: Node.js, Express, Koa, Spring, Java
  • CI/CD: GitHub Actions, GitHub Pages, AWS, Heroku, Render
  • Database: MongoDB, MySQL, Oracle
  • Co-work: Git, Github, Slack, Jira, Confluence, Trello, Notion

# 학력사항

  • 가톨릭대학교 컴퓨터정보공학과 (3.64 / 4.5)
    • 2010.03 - 2014.02(졸업)

# 자격증

  • 정보처리기사
    • 2013.11.15 한국산업인력공단 13203050547U
  • 제한무선통신사
    • 2016.06.18 한국전파진흥원 16-32-1-0686
  • TOEIC SPEAKING LV5
    • 2020.02.01 YBM

# 수상

  • TOPCIT 금상(육군참모총장상)
    • 2019.12.12 육군 1등 정보통신기획평가원
  • 군장병 공개SW 개발 대회 육군참모총장상
    • 2019.12.04 Web 분야 1등 정보통신산업진흥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독서

  • 구글 엔지니어는 이렇게 일한다 - 타이터스 윈터스, 톰 맨쉬렉 등
  • 함께 자라기 - 김창준
  • 클린 코드 - 로버트. C. 마틴
  • 실리콘 밸리의 팀장들 - 킴스콧
  • 불변의 법칙 - 모건 하우절
profile
프론트엔드 엔지니어로 일하고 있어요. 제품, 동료, 성장을 중요시해요. 겸손, 존중, 신뢰를 갖춘 동료가 되기 위해 노력해요.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