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차] 파이썬 기초: 자료형(Data type) / 데이터 입출력 / 연산자

Gracie·2024년 4월 9일
0

아주 기초적인 파이썬 문법을 배운 1주차!
학부때 배운 기억이 아직 남아있어서 수월했지만 일단, 기록해놓기 😊

자료형(Data type)이란?

효율적인 메모리 사용을 위해 데이터를 정수형, 실수형, 문자(열)형, 논리형으로 구분한 것
데이터 타입에 따라 메모리 크기가 결정됨

  1. int (정수):
    메모리가 허용되는 한 무한 사용 가능
  2. float (실수)
    소수점 17-18번째에서 데이터 손실이 일어날 수 있음
  3. str (문자(열))
    문자형 숫자 표현 가능 ex) str = '85'
  4. bool (논리형)

자료형 변환(type casting)

#정수형 <> 문자형
num = 56.4
str(num) #문자형으로 변환
int(num)

#논리형 <> 문자형
b1 = True
b2 = False
int(b1) # 정수형 1
int(b2) # 정수형 0

#문자형 <> 논리형
str1 = ' '
str2 = ''
bool(str1) #공백문자를 논리형으로 바꾸면 True
bool(str2) #빈 문자를 논리형으로 바꾸면 False

데이터 입력

int(input('숫자를 입력하세요'))
#input 함수는 str형으로 데이터가 입력되기 때문에 type casting 필요

데이터 출력 방법

1. format 문자열 사용

user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두 방법 모두 같은 값이 출력됨
print(f'이름: {userName}, 나이: {age}')
print('이름: {}, 나이: {}'.format(userName, age))

2. 형식문자 사용

# %s: 문자열
# %d: 정수
# %f: 실수

userName = input('이름을 입력하세요: ')
age = int(input('나이를 입력하세요: ')

print('이름: %s, 나이 %d' % (userName, age))

#형식 문자는 출력되는 소수점 자릿수 조절 가능
num = 3.43857295
print('소수점 3째 자리에서 반올림: %.2f' % num)
# 출력값: 3.44

기본 연산자

1. 산술 연산자
+ - * / % // ** 제곱근 공식: n ** (1/m)
2. 할당 연산자
= += -= *= /= %= //=
3. 비교 연산자
> >= < <= == !=
아스키 코드로 변환 가능한 문자는 크기 비교가 가능하지만, 문자열은 크기 비교는 불가능
4. 논리 연산자
and or not

membership operator
seqyebce(리스트, 튜플, 문자열 등)나 collection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하는데 사용되는 연산자로 True나 False 반환

#in / not in
my_list = [1, 2, 3, 4, 5]
is_member = 3 in my_list  # True
is_not_member = 6 not in my_list  # True
#is / not is: 두 객체의 메모리 주소가 같은지 비교함
a = [1, 2, 3]
b = a
is_same_object = a is b  # True

del: 변수, 리스트의 요소, 딕셔너리의 키,변수,객체 등을 삭제하는데 사용함

#dic
my_dict = {'a': 1, 'b': 2, 'c': 3}
del my_dict['b']  # 딕셔너리에서 'b' 키에 해당하는 값을 삭제
print(my_dict)  # 출력: {'a': 1, 'c': 3}
#변수
x = 10
del x  # 변수 x를 삭제
profile
비전공자의 Data Analyst 도전기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