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로베이스] Tableau 계산된 필드

Gracie·2024년 6월 19일
0

계산된 필드 구성요소

  1. 필드: 데이터 원본에 존재하는 필드를 활용해 새로운 필드를 만듦
  2. 연산자: 함수, 필드, 매개변수 등을 연결하고 계산을 판단하는 요소
  3. 매개변수: 상수 값을 동적인 값으로 변경해주는 변수
  • 최근 한 달, 최근 일년과 원하는 조건 설정이 필요할 때 주로 사용
  • 동적으로 값을 변경해줘야 하는 경우 매개변수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임 ex) KPI 기준을 2억으로 잡았으나, 1억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1. 함수: 새로운 계산식을 적용하기 위해 기존 데이터 원본의 필드에 유형 및 역할을 결정하는데 영향을 줌

Tableau 함수

테이블 계산 - Primary 함수

  • 함수내에 다른 함수가 포함된 함수
  1. Running:

    • 특정 기간동안 값을 계산해 주는 함수
    • RUNNING_SUM: 퀵테이블 계산의 누계와 같은 역할 (특정 조건까지 더한 값)
    • RUNNING_AVG, RUNNING_COUNT, RUNNING_MAX, RUNNING_MIN
  2. Total

  3. Lookup

    • D
  4. Window

    • 현재 보이는 화면 안에서 값을 계산해 주는 함수
    • WINDOW_SUM / WINDOW_AVG / WINDOW_COUNT / WINDOW_MAX / WINDOW_MIN

문자열 함수

  1. CONTAINS:
    •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어있는지 확인하는 함수
  2. SPLIT
  3. REPLACE
  4. RIGHT / LEFT

날짜형 함수

  1. DATEPART('year', [주문 일자])
    • 결과값을 정수로 반환해줌
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1 THEN 'Sun'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2 THEN 'Mon'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3 THEN 'Tue'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4 THEN 'Wed'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5 THEN 'Thu'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6 THEN 'Fri'
ELSEIF  DATEPART('weekday', [주문 일자]) = 7 THEN 'Sat'
END
  1. DATETRUNC('day', [주문 일자])
    • 날짜 형식을, 일간 단위로 잘랐다는 의미

DATEPART와 DATETRUNC의 차이?

  • DATETRUNC: 날짜 형태를 유지한 채 값을 반환해줌
  1. MTD, QTD, YTD
  • 회사별로 회계년도가 다르기 때문에 실무에서 많이 사용되는 함수
  1. 특정 기준일로 매개변수 생성
  2. 계산 필드 생성
    EX) MTD
DATEDIFF('month',[주문 일자],[Date]) = 0
// 월의 차이가 0이여야 같은 월임
AND 
DATEDIFF('day', [주문 일자],[Date]) >= 0
// date 이전일 까지만 가져올 수 있도록```

세부수준식(LOD)

  • {Incldue [차원1], [차원2]: SUM([측정값])}
    - INCLUDE: 화면에 포함되지 않은 특정 차원을 포함하여 결과를 계산
    - EXCLUDE: 화면에 포함된 특정 차원을 제외하여 계산
    - FIXED: 화면에 상관없이 특정 차원을 고정하여 결과를 계산
profile
비전공자의 Data Analyst 도전기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