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gtail Tutorial - 1

Grant·2023년 9월 3일
1

Wagtail CMS

목록 보기
2/2
post-thumbnail

Python 설치

먼저 Python을 설치해야 합니다. 웨그테일은 파이썬을 기반으로 둔 장고를 기반으로 두기 때문이죠.

버전은 3.8~3.11 버전 모두 호환이 되니 그 사이에 선호하시는 버전이 있으시다면 그 버전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없으시다면 코카콜라 해서 한 개 고르셔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개발 환경 세팅

이것또한 파이썬 버전과 마찬가지로 VS Code, Pycharm 등 편하신 대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 Pycharm을 사용하니 그 기준대로 작성해보겠습니다.

공식 사이트에 들어가셔서 아래에 있는 커뮤니티 버전을 설치해주시면 됩니다.

중간에 체크박스 선택하는 건 그냥 다 체크 해주시면 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파이참을 열어주시고 새 프로젝트를 생성합니다.

생성 되고 나면 이제 Wagtail과 친해지기 딱 한걸음 전까지 오신 겁니다.

축하드립니다.

Wagtail 설치

[Wagtail 공식 문서](https://docs.wagtail.org/en/stable/getting_started/tutorial한 개 나와 있는 대로 설명해 드리는 것이니 혹시 영어가 편하시거나 원본으로 해보고 싶으신 분은 들어가서 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튜토리얼 까지만요.

그 이후 추가 커스터마이징은..안 좋습니다... 진짜 정말로 안좋습니다... 하지만 이 얘기는 차차 해보도록 하죠.

서두가 길었습니다. 다시 본론으로 돌아오자면 전 Windows를 기준으로 작성합니다. 참고 부탁합니다.

가상환경 설정

Pycharm 하단 좌측에 보시면 윙크를 하고 있는듯한 모습의 아이콘이 보이실 겁니다.

저게 터미널이라고 명령어는 모두 이 친구를 클릭해서 뜨는 창에 입력합니다.

웨그테일 공식 튜토리얼은 가상환경을 사용하는 것을 추천하는군요. 그대로 따라 해보겠습니다.

기존 Python에 내재되어있는 venv를 사용합니다.

먼저 입력창에

py -m venv mysite\env

를 입력하시고 엔터를 누른 뒤 잠시 기다려주세요.

새로 한 줄이 뜨면

mysite\env\Scripts\activate.bat

를 입력하시고 엔터를 누른 뒤 잠시 기다려주세요.

처음처럼 한 줄만 떠있을 겁니다. 그럼 정상적으로 된 거에요. 여기까진 아무 문제 없었으면 좋겠군요.

웨그테일 설치

그리고 나서 드디어. 마침내. 새를 데려옵니다.

pip install wagtail

을 입력해주시면 촤르륵 이것저것 필요한 걸 설치해줍니다.

설치를 마친 후에는 다시 터미널이 멍하니 커서를 끔뻑거리며 있을 겁니다.

wagtail start mysite mysite

를 입력해주세요.

mysite/
├── .dockerignore
├── Dockerfile
├── home/
├── manage.py*
├── mysite/
├── requirements.txt
└── search/

위와 같은 식으로 프로젝트가 구성되어있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으실 겁니다.

이제 방금 생성하신 프로젝트로 이동하여 추가로 필요한 의존성을 설치해보겠습니다.

cd mysite
pip install -r requirements.txt

를 한 줄씩 입력해주세요.

또 뭔가 촤르르 설치될 겁니다.


이 화면처럼 보이신다면 정상입니다.

데이터베이스 연결

다음으론 바로 DB에 연결해 볼 겁니다.

python manage.py migrate

를 입력해주세요. DB는 기본적으로 SQLite를 사용합니다. 물론 MySQL, Postgres 등 원하는 거로 바꿀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해보도록 합시다.

슈퍼유저 생성

python manage.py superuser

를 입력합니다.

아이디는 비워두시면 괄호 안에 있는 거로 지정됩니다.

이메일도 형식만 맞춰서 아무렇게나, 진짜 막 sdjfdj@sjdnfksdj.com 이렇게 입력해도 됩니다.

비밀번호도 정해주시고요. 너무 간단하고 쉽게 정하시면 진짜 이렇게 하실 거냐고 새가 말을 걸어올 텐데요.

반가운 마음으로 y 그냥 입력하셔도 됩니다.

불안한 마음이 드시고 새의 충고를 받아들이시려면 N 입력하시고 다시 정하시면 되고요.

초기 화면

드디어 초기화면을 확인해볼 시간입니다.

python manage.py runserver

를 입력해주세요

그리곤 터미널 창에 나와 있는 주소를 클릭하시거나 인터넷 창을 여셔서

http://127.0.0.1:8000

를 입력하시고 들어가 주세요.

짜잔 하고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겁니다.

좌측 상단에 있는 이 친구를 맘껏 귀여워해 줍시다.

어느정도 안정이 되셨다면 주소 뒤에 /admin을 붙여보세요.

http://127.0.0.1:8000/admin

이렇게요.

짠.

여기에 이제 아까 정했던 슈퍼유저 계정으로 들어가 보시면 됩니다.

짠.

파이썬을 설치하고, 개발 환경을 세팅하고, 웨그테일을 설치하고, 초기 화면과 admin 초기 화면까지 확인했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