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github.com/itaewon-coding-dojo/cs-study/tree/master/%EB%84%A4%ED%8A%B8%EC%9B%8C%ED%81%AC
어디에 어떤 서버를 설치할 것인가?자사가 보유하고 있는 설비를 이용한다. 모든 설비를 직접 조달해야 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고, 구축에 시간이 든다.설비를 관리할 인력도 필요하다.단, 장애 발생시에 직접 모든 부분을 컨트롤 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온프레미스형의 운
사내 서버의 배치와 기본적인 역할사내 서버란 사내 클라이언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를 말한다. 사내 서버는 온프레미스 또는 클라우드에 배치할 수 있다. 온프레미스에 배치한다면 한정적인 인터넷 회선 자원을 아낄 수 있다는 장점이 있고, 클라우드에 배치한다면, 자사에
SSL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암호화와 네트워크 상대방의 인증을 통해서 안전성을 높여준다. SSL 의 기능은 크게 세가지가 있다. 첫번째는, 다이제스트이다. 다이제스트는 데이터에서 고정길이 해시값을 추출하는 기능을 뜻한다. 만약 데이터가 변조되었다면, 추출한 해시값 즉,
네트워크란?네트워크가 왜 필요할까?패킷교환 방식과 회선교환 방식PDU프로토콜의 범위네트워크는 무언가와 무언가를 무언가를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해서 무언가를 운반하는 것 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라고 하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터와 컴
서비스가 운영되는 동안, 서버에 장애가 발생 할 수 있다. 장애가 발생해도 정상적으로 서비스 운영을 이어가기 위해서 추가적으로 장애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장애 대책은 크게 다중화와 백업으로 나눈다. 다중화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장치를 여러개로 구성해서 하나의 장
신호매체주소세그먼트프레임1 계층의 관심사는 데이터가 송신처에서 수신처로 전달되는 것이다. 데이터는 전송 매체를 통해, 신호의 형태로 전달된다. 신호의 전달과정에서 신호 간 충돌과 신호의 감쇠를 고려해야 한다. 데이터는 신호의 형태로 표현이 가능하다. 이진수로 이
데이터를 보내야할 곳의 주소를 알고 있다면,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은 어떻게 이루어질까?3 계층의 관심사는 네트워크간의 데이터 전송이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서는 먼저 데이터를 보낼 주소가 필요하다. 네트워크간의 전송은 IP주소를 주소로 활용한다. 주소가 지정된
2 계층까지의 관심사는 하나의 네트워크 안에서의 데이터 전송이었다. 2계층에서는 이를 위해 컴퓨터의 물리 주소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보낼 컴퓨터를 특정하였다. 그렇다면 네트워크 간의 데이터 전송은 어떨까? 물리주소를 계속 이용할까? 지구상 모든 컴퓨터의 물리주소를 간직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