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3분 네트워크 교실 1장

Jin·2021년 6월 21일
0

네트워크

목록 보기
5/9

주요 내용

  • 네트워크란?
  • 네트워크가 왜 필요할까?
  • 패킷교환 방식과 회선교환 방식
  • PDU
  • 프로토콜의 범위

네트워크란?

네트워크는 무언가와 무언가를 무언가를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해서 무언가를 운반하는 것 을 말한다. 일반적으로 네트워크라고 하면 컴퓨터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컴퓨터 네트워크에서는 컴퓨터와 컴퓨터를 통신 매체를 통해 그물망처럼 연결해서 데이터를 운반하는 것으로 정의가 된다.

네트워크는 왜 필요할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자원을 공유하기 위해서 필요하다. 핵심은 내 컴퓨터에 속하지 않는 자원을 사용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자원들을 리소스라고 부르며, 리소스는 물리적, 논리적 어느 한가지에 국한되지 않은 폭넓은 자원으로서의 의미가 있다. 예를 들어, CPU 의 미사용 자원이나 프린터 기기 혹은 멀리 떨어진 사람의 지식 같은 것이 리소스가 될 수 있다. 리소스의 전송은 데이터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교환 방식

통신매체를 이용한 데이터의 이동방식은 회선교환 방식과 패킷교환 방식으로 나누어진다. 두 방식의 결정적 차이점은 하나의 송수신 과정이 회선을 독점하는가 이다. 예를 들어, 전화를 걸때는 통화하는 동안 회선을 점유하며 다른 세션이 회선을 침범할 수 없다.

이와 달리, 패킷교환 방식에서는 하나의 송수신 과정이 회선을 독점하지 않는다. 회선을 따라서 여러개의 세션의 데이터가 이동한다. 그렇기 때문에, 회선교환 방식보다 필요한 회선수가 적고, 속도가 빨랒지지만, 데이터의 무결성을 위한 추가적 처리가 필요하다.

Protocol Data Unit

네트워크 상에서 이동해야 하는 것은 단지 데이터 뿐만이 아니다. 택배 발송 과정을 생각해보면, 택배가 도착지 까지 안정적으로 전송되기 위해서, 송장번호, 도착지 주소 등이 함께 전달될 필요가 있다. 이처럼 데이터이외에 부가적인 데이터를 함께 넣어서 전송하는 것을 캡슐화라고 한다.

OSI 7 layer 에서 보면 계층마다의 관심사가 나누어져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서, 4 계층에서는 정보가 안정적으로 전송되는가가 관심사이기 때문에, 안정적으로 전송되었는지 여부를 데이터와 함께 추가적으로 전송해 줄 필요가 있다.

프로토콜의 범위

프로토콜은 데이터의 형식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전송 방법이나 순서까지 포함한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