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는 모바일 운영체제로 우리가 흔히 아는 Apple에서 개발했어요.
Apple은 전세계 기업에서 가장 높은 가치를 평가 받는 기업이에요.
우리가 흔히 알 듯이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 있는 핸드폰도 아이폰이죠.
요즘 같은 시기에는 개발자가 구인난이라고 많이들 말해요.
외국 기업에서는 몇 만명의 개발자가 해고되는 사태가 발생하고,
한국에서도 최근 온라인 쇼핑몰 사건이 발생해서 개발자들이 힘든 시기를 보내고 있어요.
신입 개발자를 바라보는 전공생들에게 마음 아픈 이야기에요.
그렇다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어요.
iOS 개발자를 하기로 했다면, Swift나 Objective-C 등을 알고 React native 등을 알아야하죠.
앱 개발 기술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하자면
앱 개발은 여러 환경에서 진행할 수 있고, 기본적인 문법은 여러 언어를 하다보면 금방 적응할 수 있어요.
전문가와 비전문가를 가르는 기준은 요청을 받았을 때 요청에 대한 결과를 어떤 방식으로 구현할지 떠오를 수 있고, 그 상상을 현실로 끌어올 수 있는 사람이겠죠?
그 과정 중 iOS를 선택하여 처음 단계부터 밟아보죠.
모든 언어의 기본이자 가장 중요한 출력문을 알아볼 거에요.
출력은 내가 만든 부분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단계이자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에요.
print("Hello World!")
C를 배웠다면 ;(세미콜론)이 빠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고,
Python을 배웠다면 별 다른 차이점을 느끼지 못 할거에요.
Swift의 특징 중 하나로 ;(세미콜론)을 사용하지 않는 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이렇게 출력만 하면 심심하니 조금 더 개발자 다운 방법으로 코딩을 해보죠.
var str: String = "Hello World!"
print(str)
위 내용을 보면 조금 복잡해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하나씩 자세히 보면 이해할 수 있이요.
var
: 변수임을 의미해요. 반대 의미인 상수 let
도 있어요.
str
: 변수 이름을 의미해요. 변수 str을 선언했다고 할 수 있죠.
: String
: 변수의 자료형을 의미해요. 코딩을 약간 안다면 String 형으로 변수 타입을 지정했다는 것을 알 수 있어요.
print(str)
: 우리가 위에서 열심히 정의한 내용을 출력하는 부분이에요. 잘 작동한다면 Swift를 이해하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죠!
print()
함수와 마찬가지로 많이 쓰이는 유명한 함수 중 하나이죠.
`~동안`을 의미하죠. 개발자에게는 반복문으로 유명한 함수에요.
for [반복인자] in [최대 반복 횟수] {
[반복할 내용]
}
for문을 알고 있다면 쉽게 이해할 수 있어요.
흔히 아는 for문 중에 다음과 같은 형식을 알고 있으면 비교하기 좋아요.
for(int i = 1; i <= 10; i++){
// 반복할 내용
}
이제 이 둘을 비교해서 어떤 기능을 하는지 확인할 수 있어요.
이렇게 보면 헷갈릴 수 있어서 똑같은 방식으로 바꿔볼게요.
for([반복인자] ; [최대 반복 횟수] ; [증감식]){
[반복할 내용]
}
증감식
이라는 항목이 추가되었지만, 이렇게 비교하면 간단히 알아볼 수 있어요.
여기서 증감식
은 Swift의 for문에서는 1씩 증가하도록 자동 설정되어 있어요.
별도로 지정하지 않으면 Swift의 for문은 한 번 반복이 끝나면 [반복인자]
의 값이 1 증가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