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S] mac의 간단한 기능

승민·2024년 9월 11일
0

iOS

목록 보기
2/12
post-thumbnail

맥을 처음 사용하는 사용자의 경우 맥의 기능을 활용하기 어려워요.
간단한 단축키만 알고 있어도 많은 작업이 간편해지죠.
오늘은 이러한 맥의 여러 사용법에 대해 알아볼거에요.

윈도우 키와 맥 키의 차이

먼저 맥에서 사용하는 키는 다음과 같아요.

한글과 영어를 변경하는 방법

또한 한/영을 변경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어요.
Caps Lock키를 이용하는 방법과 Ctrl+Space 키를 사용하여 변경할 수 있어요.

이 키들은 맥에서 설정을 통해 변경할 수 있어요.

위 사진과 같이 '환경설정 > 키보드 > 단축키 > 입력소스'로 이동해서
내가 원하는 기능을 원하는 키로 지정할 수 있어요.

화면 캡쳐

화면 캡쳐는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는 기능이에요. 윈도우에서 일반적으로 'Prt Sc'키를 통해 전체를 캡쳐할 수도 있고, 모르는 사람들이 있을 수도 있는 방법은 'Win + Shitft + S' 키를 누르면 원하는 부분만 캡쳐할 수 있어요.
맥에서도 캡쳐할 수 있는데, 맥의 캡쳐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어요.

  • 전체화면
    • cmd + Shift + 3
  • 특정 부분
    • cmd + Shift + 4
    • cmd + Shift + 4 + space + 카메라 이동하여 해당 윈도우만 캡쳐

전체를 바로 캡쳐하는 것과 특정 부분을 캡쳐할 수 있어요.

  • cmd + Shift + 3
    아래와 같이 전체화면을 캡쳐할 수 있어요.

  • cmd + Shift + 4
    아래와 같이 부분화면을 캡쳐할 수 있어요.

Xcode

iOS 개발자라면 xcode를 많이 사용해요.

개발자를 목표로 하고 있다면 위 사진같은 화면에 익숙해져야 해요.

iOS 앱 개발을 한다면 App Store를 통해 앱을 배포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276623/number-of-apps-available-in-leading-app-stores/

2024년 8월 기준 주요 앱스토어에서 사용 가능한 앱 수에요.

2위라니, 엄청 많죠?

그런데 위 표를 볼 때 한가지 주의할 점이 있어요.

구글의 플레이스토어에 경우 앱을 출시하는데 제약이 없어요.
가장 많은 앱 이름이 'Hello World'라고 하죠.

그에 반해 애플의 앱스토어의 경우 앱을 출시하기 위해서는 까다로운 심사를 통과해야 해요.

한 마디로 하나를 올려도 잘 만들어야 한다는 뜻이에요.
그 점을 생각하면 앱스토어에 있는 앱은 정말 많다고 할 수 있어요.

Swift

이런 앱스토어에 앱을 올리기 위해서는 앱을 개발할줄 알아야겠죠?
iOS에서 프로그램을 개발할 수 있는 가장 유명한 프로그래밍 언어는 Swift가 있어요.

이전에 쓰던 Objective-C도 있지만 현재는 Swift가 더 많이 사용되고 있어요.

한국에는 다른 언어에 비해 비교적 Swift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가 적어요.
관련된 강의를 검색해도 유료이거나 많이 있는 편은 아니에요.

문제가 있다고 가만히 있을 수는 없어요.
다행히 애플이 제공하는 공식 문서가 아주 잘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문서를 참고할 수 있어요!

https://bbiguduk.gitbook.io/swift

이제 공식 문서를 통해 도움을 받을 수 있으니 Xcode의 PlayGround를 통해 여러가지 기능을 실험해보고 익힐 수 있어요!

간단한 코딩

이제 코딩을 통해 스위프트에 대해 알아볼 수 있어요.

스위프트도 애플에서 개발한 언어라 시작하기 전에 한가지 알아야 하는 포인트가 있어요.

바로 띄어쓰기를 잘 해야해요.
띄어쓰기를 안하는 것도 아니고 하는것도 아니고 '잘' 해야해요.

오류 내용을 보면 양쪽 공백이 같아야 한다는 뜻이에요.
다시말해, 한쪽에만 띄어쓰기가 있거나 띄어써진 크기가 다르면 안된다는 뜻이에요.

참 애플스러운 오류이니 이해하고 띄어쓰기의 크기를 잘 맞춰주는게 좋을 것 같아요. 코딩은 해야죠!

다행히 문제없이 잘 출력되었네요.
간단하게 출력을 했지만, 어떤 자료형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는 것 같아요.

Swift의 자료형

Swift 또한 여러 자료형이 있어요. 어떤 내용이 있는지 한번 확인 해보면

자료형설명예시
Int정수형let age: Int = 30
Double배정밀도 실수형let pi: Double = 3.14
Float단정밀도 실수형let temperature: Float = 36.6
Bool불리언형 (참/거짓)let isActive: Bool = true
String문자열형let name: String = "뮨자열"
Array배열let numbers: [Int] = [1, 2, 3]
Dictionary딕셔너리 (키-값 쌍)let person: [String: String] = ["name": "이름", "age": "20"]
Set집합let uniqueNumbers: Set<Int> = [1, 2, 3, 3]
Optional선택형 (값이 있을 수도, 없을 수도 있음)var middleName: String?

위 내용을 보면 흔히 아는 내용도 있고 처음 보는 내용도 있어요.

일반적인 C나 Java를 공부했으면 배열까지는 쉽게 알 수 있고, Python을 공부했으면 딕셔너리, 알고리즘을 공부했으면 Set까지알 수 있어요.

마지막에 있는 Optional이라는 생소한 친구가 있어요.
스위프트는 nill이라는 상태가 있어요. null과는 다른 친구에요.

null은 객체가 없거나 초기화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하지만, nill은 값이 없음을 나타내요. 더 자세한 내용은 앞으로 알아보는 걸로 하고 일단 여기까지만 알아보는걸로 해요.


이 내용들 중에 주의해야 하는 것들 중 하나가 String 이에요.

보통의 String을 선언하면 다음과 같이 선언할 수 있어요.

var name = "Swift"
var greeting = "안녕하세요, \(name)님!"
print(greeting)  // 출력: 안녕하세요, Swift님!

그런데 여기서 문자를 하나로 줄여볼게요.

var name = "S"
var greeting = "안녕하세요, \(name)님!"
print(greeting)  // 출력: 안녕하세요, S님!

이 경우라면 String형으로 지정돼요.
여기에서 위의 쌍따옴표를 따옴표로 올리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출력돼요.
이 경우는 Character형으로 쓰고 싶으면 따로 지정해주면 돼요.

이렇게 하면 쌍따옴표로 지정을 했지만 Character 형으로 저장되어 있어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