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라 엔지니어의 교과서] 1장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버버니야·2022년 3월 16일
2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

인프라 엔지니어의 업무는 크게 세 단계로 나뉜다.

  1. 인프라 설계
  2. 인프라 구축
  3. 인프라 운영

1. 인프라 설계

인프라를 만들때는 항상 만든 목적이 있으므로, 그 목적을 잘 이해해야 한다.
목적을 달성하는데 필요한 기능이나 성능 등의 기준으로 정리한다.

조건이 정리되면 그 조건에 맞는 적절한 기획서와 설계서를 작성해야 한다.
어떤 인프라를 어느 정도의 비용으로, 어느 정도의 기간 내에 만들 수 있는지 예상하는 작업이다.
이 작업은 엔지니어가 직접 하기도 하고 업체나 컨설턴트에 의뢰하기도 한다.
기획서와 설계서가 완성되면 합당한 책임자에게 결재를 올린다.

2. 인프라 구축

필요한 기능이나 소프트웨어 등을 발주해서 납품을 받으면 인프라 구축을 시작한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인프라 엔지니어가 직접하는 경우도 있고 오퍼레이터나 외부 업체에 맡길 때도 있다.
인프라 구축 작업은 기기의 운반과 조립, 장착, 설치, 설정, 동작 테스트, 부하 테스트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대기업을 고객으로 둔 SI(System Intergration) 업계에서는 기기를 들여와 설치하는 하드웨어 관련 작업은 CE(Customer Engineer)가, 서버나 스토리지 설정은 SE(System Engineer)가, 그리고 네트워크 장비 설정은 NE(Network Engineer)가 하는 경우가 많다.

but, 웹 기반의 업계에서는 SI 업계처럼 역할 분담을 하지 않고 처음부터 끝까지 인프라 엔지니어의 손을 거치는 경우가 많음.

3. 인프라 운영

구축한 IT 인프라는 가동 후에도 계속해서 정상적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운영해야한다.
인프라를 운영하는 회사는 몇 개의 팀을 만들어 24시간 365일 교대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런 운영 조직 구성이 불가능 한 경우 MSP (Managed Service Provider)라고 불리는 IT 인프라 운영 관리 업자에게 위탁하는 경우도 있음.

장애 대응

장애 대응에는 하드웨어 고장이나 급격한 액세스 증가에 대한 대책부터 부적절한 권한 설정에 의해 액세스가 불가능한 상황의 해소 등이 있다.

수용량 관리

구축한 인프라는 시간이 지나면서 액세스 수나 데이터 양 등이 늘기도 하고 줄기도 한다.
적당한 시기에 인프라의 수용력을 재검토해야한다.
구체적으로는 인프라 전체의 수용량이 부족하면 인프라를 늘려야 하고, 반대로 너무 여유롭다면 인프라를 축소해서 규모를 적절하게 조정한다.

인프라가 원인이 아닌 문제의 파악

시스템에 문제가 발생하면 콜센터나 다른 부서에서 인프라 엔지니어에게 장애 원인에 관한 문의가 들어온다.
그런 경우 인프라가 원인일 때도 있지만 프로그램의 버그나 어플리케이션 설정 실수 인프라가 원인이 아닐 때도 있다.
장애 원인이 인프라인지 아닌지를 파악한 뒤 인프라가 원인이면 직접 대응하고, 인프라가 원인이 아니면 대응 가능한 부서에 대응 요청을 해야 한다.

IT 인프라를 구성하는 요소

IT 인프라는 다양한 요소로 구성이 된다.
인프라 규모에 따라서 각 요소에 전담 기술자를 배치하기도 하지만 모든 것을 겸임하기도 한다.

퍼실리티 (facility)

퍼실리티란 '건물, 시설, 설비' 등을 의미한다.
퍼실리티에는 데이터 센터와 데이터 센터를 구성하는 렉, 에어컨, 발전기, 변압기, 소화 설비 등이 포함된다.

서버, 스토리지

IT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와 데이터를 대량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를 가리킨다.

네트워크

서버와 스토리지를 연결하고 인터넷에 접속하는 네트워크를 가리킨다.

기술자 관점에서 보는 인프라 엔지니어

서버 하드웨어

서버 하드웨어는 주로 'IA(Intel Architecture) 서버'와'엔터프라이즈 서버' 두 가지가 있따.
양쪽 서버 모두 메인보드, CPU, 메모리, 디스크, NIC(Network Interface Card), PSU(Power Supply Unit)와 같은 주요 부속의 조합으로 구성된다.

IA 서버 : 인텔이나 AMD등 인텔 호환 CPU를 탑재하고 일반 컴퓨터와 같은 아키텍쳐를 기반으로 만들어진 서버
엔터프라이즈 서버 : 고가이다. 액세스가 대량으로 일어나도 견딜 수 있도록 수용량이 크고 내구성이 높은 기기들을 선정

서버 운영체제

서버 운영체제는 거의 '리눅스, 윈도우, 유닉스' 세 가지

스토리지

디스크의 대용량화, 플래시 디스크의 등장에 다른 고속화, 데이터의 폭발적 증가 등을 배경으로 스토리지 가상화, 씬 프로비저닝, 중복 제거, 스냅샷 등이 있다.

씬 프로비저닝: 요청한 프로비저닝만큼 리소스를 할당하지만 실제로 물리적 리소스는 일정부분만 제공하고 나머지는 허구 리소스를 할당하는 기법
스냅샷: 특정 시점에 스토리지 파일 시스템을 포착해 보관하는 기술

네트워크 설계와 구축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통신 프로토콜이 TCP/IP로 거의 집약되므로, 다양한 통신 프로토콜이 사용되던 예전과 비교하면 일상에서 사용되는 네트워크 지식을 전체적으로 파악하기 쉬워졌다.

실제로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을 대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원인을 찾아내긴 어렵다.
따라서 네트워크를 구축할 때는 설계 단계부터 모든 각도에서 검토해 문제점을 해결할 필요가 있다.

특히 인터넷에서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과 연결되어야 비로소 성립한다.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했을 때 통신이 잘 되지 않으면 자신들의 문제인지 아니면 상대방의 문제인지 파악해야 한다.

네트워크 장비

네트워크 장비의 주된 역할은 통신의 교환이다.
네트워크 장비 카탈로그를 보면 다양한 정보가 기재되어 있어 어렵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연결하는 서버 및 네트워크 장비의 수와 커넥터의 차이, 어느 정도의 통신량을 얼마나 빠르게 교환하고 싶은지, 그리고 라우터, L2 스위치, L3 스위치, L4 스위치, L7 스위치의 차이를 파악해 두면 네트워크 장비 선정에서 크게 실수할 일은 없다.

라우터 : 컴퓨터 네트워크 간에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는 네트워크 장치
스위치의 상위 레이어 장비는 하위 레이어의 기능을 다 할 수 있다.
L2스위치 : 데이터 계층 , MAC 주소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비
L3 : 네트워크 계층, IP를 보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비
L4 : 전송 계층, IP + PORT를 보고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비 (로드밸런싱)
L7 : 응용 계층, IP + TCP/UPD 포트 정보 모두를 보고 스위칭 (로드밸런싱)

선정자로서의 인프라 엔지니어

시스템 구성

프로젝트에 대해서 어떤 시스템을 어느 정도의 규모로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 검토한다.

ex) 메일 시스템 구축
간단해 보이는 프로젝트라 할지라도 여러 구성 패턴이 가능하다.
인프라 엔지니어는 몇 가지 제안 중에서 최선의 구성을 선택하게 된다.

  1. 최소 구성

  2. 이중화 구성

  3. 데이터 영역 분리 구성

서버 사양 선정

서버에는 선정해야할 사항이 많다. 예를 들어 서버 부품에서 결정할 사항으로는 CPU, 메모리, 디스크, RAID, NIC, PSU의 이중화 필요성, 보수 연수, 보수 레벨, 확장성, 물리적 크기 및 중량이 있고, 이런 사양을 결정하는 것도 인프라 엔지니어의 역할이다.

RAID : 여러개의 디스크를 묶어 하나의 디스크처럼 사용하는 기술

네트워크 구성

  • 렉에 몇 개의 스위치를 설치할 것인가?
  • 각 스위치의 수용량은 어느 정도로 할 것인가?
  • 채택할 업체
  • 보증 기간
  • 네트워크 인터베이스별로 통신량을 정하고 이중화 여부를 결정

데이터베이스 설계

데이터베이스의 종류와 요건을 검토

  • RDBMS의 선정
  • 필요 용량 계산
  • 데이터베이스 스키마와 물리적 데이터 배치 결정
profile
안녕하세요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12월 5일

간결하게 정리된 목차별 글 잘 봤습니다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