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는 whentoomeet의 리펙토링 프로젝트인 jungsi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은 Redux 활용기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한다.먼저, Redux에 대해 알아보고 차근차근 프로젝트 과정 중에 있었던 일들에 대해 적어보도록 하겠다.Redux의 구조는 다음과 같
작년에 팀원들과 같이 미니 프로젝트로 했던 whentoomeet 사이트 리팩토링을 다시 시작해보고자 한다. 사실 당시에 끝까지 만들지 못해 아쉬움이 많이 남아 나중에 꼭 완성시키자 했었지만 시간이 흐르고 나니 잊혀졌던 것 같다. 당시 팀원들 중 백엔드를 담당하던 팀원이
NODE.JS와 EXPRESS.JS를 설치하기 전에 이 둘이 무엇인지 간단하게 알아보도록하자. 먼저, NODE.JS의 공식 문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나와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바로 전 글에서 NextJS에서 ContextAPI를 사용해보는 시간을 가졌습니다.React에서는 NextJS랑은 다르게 페이지 경로 설정을 따로 해줘야 합니다.
\-> Context API를 사용하면 프로젝트 안에서 전역적으로 사용 할 수 있는 값을 관리 할 수 있게 됩니다.
오늘은 프로젝트를 개발할 때 빠질 수 없는 Modal창 구현에 대해 말해보고자 하는데요. 단순히 Modal만 구현을 하는 것이 아니라 Debouncing을 활용했습니다.
연이어 호출되는 함수들 중 마지막 함수(또는 제일 처음)만 호출하도록 하는 것디바운싱은 언제 사용하면 좋을까요?
오늘은 class형 컴포넌트의 lifecycle과 관련이 깊은 useEffect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presenter component에서 styled-component쪽으로 인자를 전달하는 과정에서 warning 메시지
export 문은 JavaScript 모듈에서 함수, 객체, 원시 값을 내보낼 때 사용합니다. 그리고 여기서 내보내진 값은 다른 곳에서 import 문을 통해 받아와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우선, export에는 두 가지의 방식이 있습니다.1\. 유명 (named)무명
JSX는 JavaScript를 확장한 문법으로 UI가 어떻게 생겨야 하는지 설명하는 역할을 담당
먼저 Node.js와 yarn이 설치되어 있는지를 확인해봐야 합니다.Node.js는 node -v 를 통해 다음과 같이 v와 함께 버전이 표시된다면 설치되어 있는 상태입니다.yarn도 마찬가지로 -v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두 가지 모두 버전이 확인되면 node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