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정한 데이터들을 일렬로 일정하게 모아놓은 집합.
[ ] 대괄호를 쓴다.
괄호 안에있는 하나하나를 요소(element)라고 부른다.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19는 myArray라는 배열의 하나의 요소이다
myArray에는 4개의 요소가 있다
배열에 들어가는 데이터 타입 종류는 상관없다.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19는 0번 index, 44는 1번 index, 'good'은 3번 ...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let first = myArray[0] console.log(first)
19로 출력됨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myArray[0] =500
하면 0번째있는 19가 지워지고 500으로 바뀐다.
let myArray = [19, 44, 'good', false] console.log(myArray.length)
하면 4가나옴
길이가 4인 배열은 index의 마지막 값은 배열의 -1값이다.
추가할 요소.push
하면 배열뒤에 추가된다
.pop()은 뒤에 요소 삭제해준다
배열에 요소가 하나 뿐이어도 배열이다
.shift()는 맨 앞 요소 삭제
nestyed array라고도 부른다.
let myArray = [19,44,'good', [100,200,500], false] console.log(myArray[3][0]) 3째 요소에 0번째 index 라는 뜻
배열 요소갯수 -1 = 가장 마지막 요소 index
let myArray1 = [19,44,'good', [100,200,500], false] let myArray2 = [900,800,700,600] let myArray3 = [7,77,777,7777,77777,777777]
console.log('myArray1: ',myArray1[4] // "myArray1: false" 출력 console.log('myArray2: ',myArray2[3] // "myArray2: 600" 출력 console.log('myArray3: ',myArray3[5] // "myArray3: 777777" 출력
배열의 길이가 길때 마지막 요소 구하기
.length를 이용하자(다시 한 번 강조!!!!)
console.log(myArray1[myArray1.length -1])과
console.log(myArray1[5-1])은 같다
myArray1.length -1은 요소 갯수에서 -1을 뺴면 마지막 index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