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스마트폰으로 생각)
js가 브라우저 밖에서도 동작하게 하는 환경
도구들을 사용하기위해 node사용
NPM
(앱스토어로 생각)
노드 패키지 매니져
CRA
리액트 프로젝트를 시작하는데 필요한 “개발 환경”을 세팅 해주는 도구
node_modules
모든 소스코드(CRA)가 존재하는 폴더
gitignore
깃으로 관리하고 싶지 않은 파일들의 목록
node_modules 포함되어있다.(용량이 커서 비효율적)
package.json
프로젝트(패키지)에 대한 정보가 들어있는곳
index.html에서 title태그에 프로젝트명 작성
src폴더
App.js , index.js 남김
App.js ,index.js에서 안쓰는 import, 태그, 주석들 정리
(index위치나 이름 절대 건들지 말기!!)
import React form "react";는
React라는 어떤 객체를 경로가 react라는 곳에서 가져오겠다.
경로에 ./ 가 없으면 node_modules에서 가져오겠다는 뜻
./App는 뒤에 .js가 생략되어 있음!
( ./는 현재경로 ../는 상위경로)
import에서 reset ,common위치 조심
common이 먼저 가면 reset이 덮어버려서 무용지물
ReactDOM.render(, document.getElementById("root"));
는 App이라는 컴포넌트를 가지고있고, 두번째 인자는 root 안에 넣겠다
<이미지>
return 안의 내용이 렌더 되어진다.
마지막엔 꼭 export default App; 작성
index.html - index.js - App.js
<이미지>
data 폴더
moc data를 관리하는 폴더
(api를 받을 때 ui에 미리 가짜 데이터를 입혀보는것)
images 폴더
이미지 넣기
src 폴더
재활용 가능한 UI 구성단위 (레고를 생각하자!)
컨포넌트명은 첫글자를 대문자로 만들고 컴포넌트가 있는 js 파일이름도 첫글자 대문자로 사용
반드시 export default 하자
import React 밑에
import "./Login.css"적용
작성 후 index.js에 import해서 연결해준다!
(App.js에서는 import적용 안해도 자동적용)
컴포넌트를 태그화 해서 붙여서 쓸 수 있다.
태그화 할때는 셀프클로징 형태로 쓴다 < ㅁㅁ />
Html, js 로직구현 같이하는데 js느 {}사용하기
카멜케이스로작성(바꿀때 커맨드 + d)
class는 className으로 바꿔준다!
(마지막 오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