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 컴퓨터에게 명령을 내려주는 시스템(운영체제)
특징
오픈소스: 공개적으로 설계되어 누구나 자유롭게 확인, 수정, 배포가능
트리 구조로 생김
root( / ) = 루트 폴더, 최상위 경로, / 기호로 접근
/home = 유저관련된 파일, ~ 기호로 바로 접근
(home 안에 desktop이있음 )
/bin = binary약자 , OS최소한의 구동을 위해 최소한의 필요한 프로그램
절대경로
루트디렉토리를 기준으로 위치가 어떻게되는지
/home/eun/bin 식으로 표현
상대경로
. = 현재경로
.. = 상위경로
리눅스와 컴퓨터 사이에 명령을 전달해줌 중간다리 역할
CLI = 명령줄을 통한 접점, 키보드로만 작성
GUI = 사용자가 그림을 클릭해 리눅스와 소통
차이점 = 어떤 디바이스로 통해 명령을 내릴것인가의 차이
pwd = 내가 있는 위치
ls = 현재 위치 파일 목록
ls -al = 디렉토리에 있는 숨겨져있는 파일도 전부 다 보임
cd = 디렉토리(폴더)이동
mkdir = 디렉토리 생성
touch = 파일생성
vi = 파일 편집할 수 있는 에디터 활성화
i = 편집모드(끼워넣기) -> esc -> shift + ; -> wq(저장) 하면 나가짐, 수정 안할 때는 q
.. = 상위폴더이동
rm = 파일삭제(찾을 수 없음)
rm -r = 디렉토리 삭제
하지말 것!!
rm -rf* 은 모두 삭제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