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 =Version Control System(VCS)
Version = 변경 이력
코드 버전 관리 이유

  • 파일을 새로 만들면 관리가 힘듦
  • 이전 버전의 코드로 돌아갈 수 있음.
  • 이력 남기기 위해(범인찾기!)
  • 하나의 프로젝트를 두고 여러명의 개발자들이 협업할 수 있기 떄문

Git Hub

git hub란 온라인상의 공간,프로그램은 다른 개발자들과 공유하고 의사소통하는 곳,

  • 개발자들의 sns
  • 프로젝트들의 저장소

의사소통하는 규칙
pr 메세지=댓글같은거, 라벨=status로 내 현재상태 표현

git branch = 가지(개인적인 스케치북같은거, 독립된공간)
메인,마스터가 기둥
작업끝난후 모든코드는 메인,마스터로 합쳐져야됨

checkout = branch간에 이동하는 것
pull = 다른 브렌치에서 가져오고
merge = 내가 가지고있는 코드를 다른코드와 병합하는것


기본 명령어

  • git 시작 : git init (폴더 안에서 쳐야 됨, 폴더를 녹화 라고 생각)
  • git 상태확인 : git status(cctv잘 찍히는지, 장바구니에 뭐가 담겼는지 보는것)
  • 파일 수정 이력 기록 준비 : git add(장바구니에 담는 행위)
  • 파일 수정 이력 기록 : git commit(구매하는 것)하면 빈 상태가 된다. 번호가 생겨 그 번호로 이동 할 수 있음
    -commit이력 보기 : git log(구매한 내역들 확인)

흐름

local = 내가 작업하는 컴퓨터
remote = 내가 작성한코드가 올라가는 곳

마스터에서 시작 = 메인 브렌치
신성시하자!!!어떤 코드작업,변경사항을 만들지 않는다!!

1. 생성

  • 작업하거나 내용입력 할 떄는
    feature/어떤작업(기능) 으로 분리 후 안으로 들어가서 작업!
  • 터미널에 git branch feature/login 하면 브렌치 생성
    (여기서 어떤 코드를 치던 마스터는 모른다)

2. 들어가는법

  • git checkout feature/login 하고 여기서 작업시작

3. 변경사항(작업내용) 저장

  • git add . (add하고 띄어쓰기 .) 내가한 변경사항이 장바구니로 들어간다 생각
  • git commit -m "Add:login page complete" -> 변경 사항의 설명

노션에서 커밋 작성방법 확인해보자!!

4. 확인

  • git log로 여태남긴 커밋 쭉 나온거 확인
    (마스터 아직모름)

5. 보고준비

  • 다른사람들과 공유 하기전에
    git push origin feature/login에 올린다
  • remote에 올릴 공간(feature/login)이 생성하면서
    remote에 있는 feature/login으로 올라간다.
    remote에서는 작업 ㄴㄴ
    (remote 마스터랑 local 마스터랑 각각 다른것임)

    만약 remote 마스터에 전에 1,2를 올렸다면
    local에서 추가로 3,4,5를 위에 과정으로 다시 올리면
    remote에 있는 feature/login이 remote 마스터와 비교 후 3,4,5에 대한 리뷰를 단다.그러기 위해서 pr 메세지를 작성해야됨 (업무에 대한 보고서 과정이라고생각)

수정할때 local feature/login에서 작업후 remote에있는 feature/login으로 옮기는것 헷갈리지 말기!!!
(수정해서 올릴때 local feature브렌치와 remote feature브렌치가 서로비교해 없는 것만 올림)

6. remote master에서 local master로 가져오기

현재위치가 feature/login 에서
git checkout master 로 이동한 후
당겨와야되니까 git pull origin master해서
remote에 있는 마스터를 당겨와서 내 local마스터로 받는다.


클론 가져오기

1. remote master에서 local master로 가져오기

  • 해당 클론작업 할 곳에 들어가서 code(초록버튼)클릭 후 주소복사 후 터미널에 저장 폴더 들어간 후 git clone 치고 붙혀넣기 엔터하면 클론 깔림
    그 다음 npm install한다음
  • git branch feature/donghyeok
  • feature 브렌치 만들때 이름 같으면 겹치므로 주의

2. 터미널로 이동

  • 클론받고 cd westagram-frontend로 이동 후 터미널에서 open . 하면 경로를 알려줌 거기서 폴더를 vs code로 떙겨옴

4. 브렌치 만들기

  • Vscode에서 커멘드 + j로 터미널 열고 git branch feature/donghyeok 입력 하면 브런치 생성됨
    feature 브렌치 만들때 이름 같으면 겹치므로 주의
  • git branch로 생성된거 확인 후 q로 나온다

5. 만든 branch로 이동하기

  • git checkout feature/donghyeok 후
    다시 git branch 하면 별표 자리가 바뀐걸 확인
    (*표가 이동했다는것)독립적인 공간 생긴것

6. 클론에 작업폴더(파일) 넣기

  • 25th에 가서 우클릭으로 폴더 만들고(donghyeok) 작업하던 폴더를 끌어다 넣는다

7. 경로확인

  • git status로 새로 들어온 것들이 빨간글씨로 뜸.

8. Git hub에 올리기 (재업로드 포함, 작업 폴더에서 시작)

  • git add . 엔터 (작업 후 다시 추가하려면 여기서 부터)
    git commit 엔터
    git commit -m "변경사항" : -m을 주어 변경사항에 대한 간략한 기록을 남기도록 습관을 들이는 것이 좋다.
    새로 추가하는 내용이니까
    Add: 로그인 페이지 완료
    • 로그인 레이아웃 완료
    • 로그인 유효성 검사 로직 작성 완료

i를 누른 후 작업에 맞는 내용 작성
작성 완료 후
esc => shift+; => wq로 저장 후 나온다
git log로 확인후 q로 나옴

9. Git hub에 연결

  • git push origin feature/donghyeok 후 복사했던 깃허브 사이트 가면 compare & pull request 클릭 하면 보고서 양식이 뜸

10. Commit Edit

  • 작업 제목 수정, 내용 수정 작성, 라벨 변경 후 올림

0개의 댓글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