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laptops.eng.uci.edu/software-installation/getting-started-with-programming/fortran-tutorial
https://www.wsj.com/articles/SB10001424053111903480904576512250915629460
https://www.ted.com/talks/fei_fei_li_how_we_re_teaching_computers_to_understand_pictures?language=enCNN으로 비전을 연구한 초창기 연구자인 Fei fei Li Caltech 교수의
트랜지스터의 원리를 다이오드의 원리를 우선 설명하고 확장시키면서 제대로 설명한 블로그https://m.blog.naver.com/wjdendyd100/220820302979
https://riptutorial.com/ko/r/example/2047/%EB%8D%B0%EC%9D%B4%ED%84%B0-%ED%94%84%EB%A0%88%EC%9E%84%EC%97%90%EC%84%9C-%ED%96%89-%EB%B0%8F-%EC%97%B4
10.1 기초개념텍스트 분석의 목적은 텍스트의 의미를 알아내는 것이다.텍스트 자체는 대표적인 비정형 데이터다.텍스트에서 의미를 추출하려면 정형화된 정보를 먼저 얻어야 한다.따라서 글에서 특정 단어나 문장이 나타나면 이를 기호화하고 이의 찬성 또는 반대의 정도를 숫자로
분류(classification)이란 어떤 항목(item)이 어느 그룹에 속하는지를 판별하는 기능을 말한다.분류는 data analysis의 기본이며 응용 분야도 가장 넓다.9.1 기본 개념분류에서 가장 자주 사용되는 모델은 주어진 샘플 항목의 몇 가지 특성 변수를 보
들어가기 전에...이 기록은 순전히 글쓴이 본인을 위한 것이므로 생략이 많음.내용을 자세히 알고 싶으면 '데이터 사이언스 개론'(김화종 저)를 보세요.
분석하기 좋게 데이터를 고치는 모든 작업을 데이터 전처리(preprocessing)라고 한다.실제로 데이터 사이언스 전 과정에서 분석 알고리즘 자체를 수행하는데 걸리는 시간보다 분석에 필요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처리하는 과정에 더 많은 시간이 걸린다.보통 80~90%의
https://docs.djangoproject.com/ko/3.0/howto/custom-lookups/#a-lookup-example
Selenium을 사용해 excel을 편집하면서 크롤링 하는 블로그.https://medium.com/@peteryun/python-selenium을-활용한-크롤러-만들기-b055cefd11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