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각소_BluePrint의 목표 저희 BluePrint는 웹 개발 학습과 2024년도의 창업 동아리 활동을 위해 “모각소”에 모여 지원했습니다. 각자의 목표 지향점에 맞추어 기술 스택을 공부할 것이며 뿐만 아니라 웹 서비스 혹은 플랫폼 서비스에 대한 아이디어
스프링 웹 개발 기초 api가 뭐냐? json이라는 데이터 구조 포멧을 통해서 클라이언트에게 데이터를 전달하는것이 api방식 api를 통해서 서버끼리 통신도한다. 1. 정적 컨텐츠 그냥 static파일에 html파일을 저장 후 실행하면 된다. 내장 톰켓 서버가 h
스프링 빈과 의존관계 화면을 붙이고 싶은데 그럼 컨트롤러랑 뷰가 필요하다. 컨트롤러가 멤버 서비스에 의존하면서 정보를 저장하고 해야함 이를 spring 으로 함 @Controller가 입력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객체가 생성된다. 스프링 빈을 등록하는 두가지 방법 1
모각소 2주차 1번째오늘은 "객체지향 프로그래밍 및 실습"시간에 자세하게 배우지 않았던 java의 메모리 구조에 대해서 공부해 보았다.CS관련 지식의 중요성은 개발에 대해서 배울 때마다 항상 느끼고 있으므로, 잊지 않게 꾸준히 복습해놓도록 하자.자바의 메모리 구조는 크
오늘은 온전히 java로 만든 코드를 spring을 사용해서 전환하는 과정을 공부했다.김영한 강사님의 spring강의 내용인데 너무 어렵지만 꾸역꾸역 이해하며 듣는 중이다.https://github.com/LEEHUYNJE/-\_Spring\_-링크에 만들어진
오늘은 스프링의 싱글톤 이라는 개념과 이를 컨테이너 내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에 대해서 공부하였다.스프링은 태생이 기업용 온라인 서비스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탄생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여러 고객이 동시에 요청을한다.클라이언트 A,B,C가 각 클라이언트요청에 따라 객체를
오늘은 김영한 선생님께서 자동 의존관계 주입시스템이 있다고 하셔서 열심히 강의를 들었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지금까지 스프링 빈을 등록할때는 @Bean을 사용하여 스프링 빈을 나열했다.하지만 실무에서는 많기 때문에 일일이 등록하기 힘들다.\-> 이를 위해 컴포넌트 스캔
오늘도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들었다. 이분의 개발 실력이면 현재 연봉을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같은 생각을하면서, 선생님이 만드신 로드맵을 한발자국 밟아갔다. > "네카라쿠배를 향한 그날까지" - 이현제 조회 빈이 2개 이상 - 문제 오늘 내용은 모각소-6 마지막
오늘은 웹 백엔드 개발을 배우기 위해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들었다.사실 어제도 들었다.사실 이번 방학 내내 들었다. 개강할때는 고수가 되어 나가자.생성자 주입수정자 주입(setter 주입)필드 주입일반 메서드 주입이름 그대로 생성자를 통해서 의존관계를 주입하는 것이다
오늘도 모각소시간을 빌려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들었다. 마지막 주차라고 긴장풀지말고 열심히 듣도록 하자. 빈 생명주기 콜백 빈 생명주기 콜백 시작 데이터베이스 커넥션 풀이나, 네트워크 소켓처럼 애플리케이션 시작 시점에 필요한 연결을 미리 해두고, 애플리케이션 종료
오늘이 아마 마지막 모각소일지일 것 같은데 열심히 해보자. 개강이 15일 밖에 안남은게 어지럽지만 신경쓰지 않도록 하자HTTP 기반으로 동작정적 리소스를 제공정적(파일) HTML, CSS, JS, 이미지, 영상 등HTTP 기반으로 동작웹서버 기능 포함 + (정적 리소스
Java의 클래스의 인스턴스들은 어떻게 메모리에 저장 될까? 독립적인 객체 예를 들어 >
지난이야기 MMU가 PA와 LA 사이의 미스매치를 해결한다 Fixed pratitions physically contiguous: logically contiguous: 우리가 64bit 단위로 프로세스를 만든다 -> 피지ㅣ컬리 컨디키어스가 보장된다고 하는 것은 아
이전 시간에 배운 내용 Demand Paging: 메모리가 아닌 disk에 process의 page를 저장하여 로드를 페이지 단위로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Demand paging의 필요 조건 3가지 page table은 valid/invalid bit를 가져야한
계속 대충이해만 하고 넘어갔었는데, 백엔드에서 JWT토큰을 다루니 지식의 공백이 엄청나게 느껴저서 한번 제대로 공부하고 넘어가려고 만들었다.
창업동아리에서 개발 중인 이커머스 플랫폼에서 소셜로그인 관련한 기능을 공부하던 중 access token, ID token, OAth 2.0, OIDC 등등 다양한 이론들이 나와 한번 정리해보려고 한다.오늘은 Access Token과 OAth 2.0 에대해서 알아보도록
창업동아리에서 개발도중인 이커머스 플랫폼의 OAuth2를 이용한 소셜로그인 기능을 얼추 완성시켰다. 배운 것들을 까먹기 전에 빠르게 적어보도록하자.UserDetails 인터페이스는 Spring Security 프레임워크에서 사용자의 인증 및 권한 부여를 관리하기 위해
처음 활용할때 인터페이스 명이 너무 길고 어떤 역할을 할 때 써야하는지 잘 알지 못했는데, 오늘 기회가 생겨 정리하게 되었다.위 인터페이스는 OAuth 2.0 로그인 프로세스 중에 OAuth 2.0 또는 OpenID Connect(OIDC) 제공자(Google, Fac
오늘 모각소 시간에 들은 대 김영한님의 강의 중 정말 중요하다는 내용을 한번 정리해보려고한다.엄청난 경고이니 뼈와 살로 만들어보자.코드의 발전 단계는 점점 심화되어가니 처음 코드들은 목적이 무엇인지 파악하는 용도로만 보면 좋을 것 같다.또한 이미 개발중인 코드에 대해
오늘은 각자 모여서 소프트웨어(모각소)하는 시간에 창업동아리에서 개발중인 가구 이커머스 플랫폼의 상품등록 기능에 대해서 개발해 보았다.그럼 개발했던 과정중 구상한 기능과 요구사항들에 대해서 정리해보도록 하겠다.앱 개발 관련해서 정의한 요구사항은 이미 노션에 적어 놨기에
오늘은 주문 등록 및 조회를 개발했다. 김영한님의 인프런 강의를 보고도 꽤 어려웠는데, 강의를 보지 않았더라면 정말 많이 돌아갔을 것 같다. 그럼 이제 내 코드를 분석해보겠다.먼저 위 코드에서 requestOrderDto를 숙지하자주문을 등록하기 위한 조건을 살펴볼때
나날이 늘어나는 API명세를 이제는 조금 관리하고, 프론트엔드 입장에서 보기도 편하도록 설정해야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그래야 프로젝트 개발 속도도 빨라질테니..그래서 오늘은 springdoc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OpenApi 명세 활용방법을 설명하도록 하겠다.@Open
갑자기 쌩뚱맞게 왜 UDP와 TCP를 모각소 마지막주차에 공부하냐고 물어본다면 다다음주가 개강 이기 때문이다. 1년전에 배운 컴퓨터 네트워크 지식의 가장 기초인 UDP와 TCP를 한번 다시 복습해보도록하자.TCP(전송 제어 프로토콜) 및 UDP(사용자 데이터그램 프로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