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늘은 온전히 java로 만든 코드를 spring을 사용해서 전환하는 과정을 공부했다.
김영한 강사님의 spring강의 내용인데 너무 어렵지만 꾸역꾸역 이해하며 듣는 중이다.
https://github.com/LEEHUYNJE/-_Spring_-
링크에 만들어진 java 코드에 스프링을 사용하여 코드를 전환해 보도록 하자.
Q1. 아니 더 어려워진 것 같은데 굳이 써야하나? 무슨 장점이 있을까?
//스프링 컨테이너 생성
ApplicationContext applicationContext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참고: 스프링 컨테이너를 부를 때 BeanFactory, ApplicationContext로 구분해서 이야기한다.




참고
정리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 설정 정보를 참고해서 스프링 빈도 등록하고, 의존관계도 설정했음
public class ApplicationContextInfo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모든 빈출력하기")
void findAllBean(){
String[] beanDefinitionNames = ac.getBeanDefinitionNames();
for (String beanDefinitionName : beanDefinitionNames) {
Object bean = ac.getBean(beanDefinitionName);
System.out.println("name = "+ beanDefinitionName + "object = "+ bean );
}
}
@Test
@DisplayName("모든 빈출력하기")
void findApplicationBean(){
String[] beanDefinitionNames = ac.getBeanDefinitionNames();
for (String beanDefinitionName : beanDefinitionNames) {
BeanDefinition beanDefinition = ac.getBeanDefinition(beanDefinitionName);
//Role ROLE_APPLICATION: 직접 등록한 애플리케이션 빈
//Role ROLE_INFRASTRUCTURE: 스프링이 내부에서 사용하는 빈
if(beanDefinition.getRole() == BeanDefinition.ROLE_APPLICATION){
Object bean = ac.getBean(beanDefinitionName);
System.out.println("name = "+ beanDefinitionName + "object = "+bean);
}
}
}
}
@Test
@DisplayName("구체 타입으로 조회")
void findBeanByName2(){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Impl.class); //인스턴스 타입으로도 가능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Impl.class);
//하지만 좋은 코드는 아님, 구체에 의존했기 때문
}
@Test
@DisplayName("빈 이름으로 조회X")
void findBeanByNameX(){
assertThrows(NoSuch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xxxx", MemberService.class)); // ac.getBean을 했을때 익셉션이 터져야 테스트가 성공함
}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빈 이름을 지정하면 된다")
void findBeanByNam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ac.getBean("memberRepository1",MemberRepository.class);
assertThat(memberRepository).isInstanceOf(MemberRepository.class);
}

위 그림은 상속관계를 표현한 것이고, 왼쪽은 조회했을때 같이 조회되는 항목들을 간단하게 정리한 것
@Test
@DisplayName("부모 타입으로 모두 조회하기")
void findAllBeanByParentType(){
Map<String, DiscountPolicy> beansOfType = ac.getBeansOfType(DiscountPolicy.class);
assertThat(beansOfType.size()).isEqualTo(2);
for (String key : beansOfType.keySet()) {
System.out.println("key ="+key+ "value = " + beansOfType.get(key));
}
}


빈펙토리
ApplicationContext

메시지소스를 활용한 국제화 기능
환경변수
애플리케이션 이벤트
편리한 리소스 조회
정리
ApplicationContext는 BeanFactory의 기능을 상속받는다.
ApplicationContext는 빈 관리기능 + 편리한 부가 기능을 제공한다.
BeanFactory를 직접 사용할 일은 거의 없다. 부가기능이 포함된
ApplicationContext를 사용한다.
BeanFactory나 ApplicationContext를 스프링 컨테이너라 한다.
그러므로 정리는 간단하게만 할 것임
##java 코드가 아닌 것은 resources 파일에 만드는 것이다.


BeanDefinition 정보
정리
정말 세상에는 쉬운게 없다는 생각이 들게 만든 강의다. 1학년때 웹개발은 비전공자들도 쉽게 할 수 있는 영역이라고 들었기 때문에 웹개발은 쉽다고 생각했었는데, 그 어리석은 생각을 깨부신 내용같다. 빈, 컨테이너, 의존관계와 같은 개념들은 이해가 어느정도 됐는데, 이런 개념들을 밥먹듯이 쉽게 적용시키는 김영한 강사님의 개발 솜씨를 보고 벽을 느꼈다. 격의 차이를 느꼈고, 더 열심히 해야겠다라는 생각밖에 안들었다. 앞으로도 화이팅
김영한 강사님 - 스프링 핵심 원리(기본편)
https://www.inflearn.com/course/%EC%8A%A4%ED%94%84%EB%A7%81-%ED%95%B5%EC%8B%AC-%EC%9B%90%EB%A6%AC-%EA%B8%B0%EB%B3%B8%ED%8E%B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