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수준 스케줄링 : 프로세스에 CPU를 할당할지 대기 상태로 보낼지 등을 결정
중간수준 스케줄링 : 전체 시스템의 활성환된 프로세스 수를 조절
고수준 스케줄링 : 시스템 내의 전체 작업 수를 조절
선점형 스케줄링 | 비선점형 스케줄링 | |
---|---|---|
작업 방식 | 실행 상태의 있는 작업을 중단하고 새로운 작업 실행 | 실행 상태에 있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 불가 |
장점 |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할 수 없음 -> 대화형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 | CPU 스케줄러의 작업량이 적음 문맥 교환의 오버 헤드가 적음 |
단점 | 문맥 교환시 오버 헤드가 많음 |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많아 처리율이 떨어짐 |
사용 | 시분할 방식 스케줄러 사용 저수준 스케줄러에 사용 | 일괄 작업 방식 스케줄러에 사용 |
중요도 | 높다. | 낮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