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U 사용률
처리량
평균 대기 시간
구분 | 선점형 | 비선점형 |
---|---|---|
작업 방식 | 실행 상태에 있는 작업을 준단시키고 새로운 작업을 실행할 수 있다. | 실행 상태에 있는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다른 작업 실행이 불가능하다. |
장점 | 프로세스가 CPU를 독점할 수 없어 대화형이나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 | CPU 스케줄러의 작업량이 적고 문맥 교환의 오버헤드가 적다. |
단점 | 문맥 교환의 오버헤드가 많다. | 기다리는 프로세스가 많아 처리율이 떨어진다. |
사용 | 시분할 방식의 스케줄러에 사용 | 일괄 작업 방식 스케줄러에 사용 |
중요도 | 높다 | 낮다 |
특징
평가
콘보이 효과 : 매우 올래 걸리는 프로세스기 할당될 경우, 다른 스레드들이 이러한 프로세스에 영향을 받아서 전체적인 시스템 효율이 떨어지는 현상
특징
평가
개선 방안
= 최고 응답률 우선 스케줄링
특징
평가
특징
타임 슬라이스와 문맥 교환
동작 방식
평가
프로세스가 CPU를 한 번씩 할당받아 실행될 때마다 프로세스의 우선순위를 낮춤
-> 다단계 큐에서 우선순위가 낮은 프로세스의 실행되는 연기 문제 완화
우선 순위에 따라 타임 슬라이스의 크기가 다름
특징
고정 우선순위
변동 우선순위
준비 상태의 다중 큐
대기 상태의 다중 큐 : 같은 입출력을 요구한 프로세스끼리 모아 놓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