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프로젝트 만들기

노건우·2023년 9월 20일
0

Spring

목록 보기
2/22

우선 스프링의 설치가 완료되었다는 가정 하에 포스팅을 시작해 보겠다.

https://start.spring.io/ 이 사이트에 접속해서 프로그램을 설정하자.

gradle, maven

나는 gradle을 선택해서 프로젝트를 구성했다. 우선 그래들이 메이븐에 비해 빌드 속도가 월등히
빠르다. 또한 스크립트 길이, 가독성 면에서도 우세하다. 그래들은 스프링부트에서 주로 사용된다.

버전

위를 보면 snapshot,m2,아무것도 쓰여 있지 않은 버전이 있는데,
SNAPSHOT이 붙은 것은 현재 개발중인 버전, M(Minor)는 정식 릴리즈 되지 않은 버전이고 아무것도 붙어있지 않은 것이 정식 릴리즈된 버전이다. 나는 3.1.3버전을 골랐다.
또한 기존 자바 버전을 11버전을 사용하고 있어 11버전으로 선택했다.

자바 버전을 자세히 보면 8,11,17,20..이런 형식으로 몇몇 숫자가 생략되어 있는데, 워낙에 많은 버전이 출시되고 시험중인 버전이 많다. 무엇보다 버전마다 크게 변화가 없기 때문에 불안정한 최신버전을 사용하는 것 보단 약간의 하위버전을 사용하는 것이 오류로부터 안전해 정신건강에 좋을 것이다. 또한 자바는 하위 호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버전에 그렇게 집착할 필요는 없다.

Spring web, thymeleap

timeleaf아니니까 신경쓰자.
나는 타임리프와 웹을 사용하므로 dependencies에 추가해주자.
물론 처음 설정 과정에서 추가해주지 않아도

이런 식으로 코드 내에서도 추가가 가능하다. 하지만 처음부터 꼼꼼히 추가해주는게 나중에 깜빡하고 빼놓을 확률을 줄일 수 있다.

generate 후


이러한 압축폴더가 만들어 진다.
압축폴더를 workspace로 가져간 후에 압축을 풀어주자.


잘 담아주었으니 이젠 가져오자.

여기서 파일의 경로를 설정해준다.


그대로 가져오면 이렇게 import가 완료된다.

import 후


properties에서 세팅을 해주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오류가 날 수 있다.

또한 window - preferences에서 enc를 검색하고 모두 UTF-8로 변경해주자.

RESOURCE- static에 html파일을 하나 만들어서 서버의 동작을 확인하자.

박재범으로 한 번 해봤다.

무리없이 화면이 뜬다.

jpark을 선택하면 http://localhost:9090/park로 서버이동도 원활히 잘 된다.

jsp와는 확실히 tomcat서버가 내장되어 있어 조금 다루기 수월한 느낌은 있다. 하지만 공부를 하다 보면 점점 고통스러운 구간이 있을 것
✍️✍️👊👊

profile
초보 개발자 이야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