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라는 큰 객체 하나를 만들어 여러 스프링에서 가져다 쓸 수 있게 한다.

스프링 컨테이너란(Spring Container)
- 스프링 컨테이너는 자바 객체의 생명주기를 관리하며, 생성된 자바 객체들에게 추가적인 기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말하는 자바 객체를 스프링에서는 빈(Bean)이라
고 부른다.
- 개발자는 객체를 생성하고 소멸할 수 있는데,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 역할을 대신해 준다.즉, 제어의 흐름을 외부(스프링 프레임워크)에서 관리하는 것이다.
또한 객체들간의 의존 관계를 스프링 컨테이너가 런타임 과정에서 알아서 만들어 준다.
- 스프링은 실행시 객체들을 담고 있는 컨테이너가 있다.
MemberController
- 생성자의 @Autowired가 있으면 스프링이 연관된 객체를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찾아서 넣어준다. 이렇게 객체의존 관계를 외부에서 넣어주는 것을
DI(Dependency Injection)의존성 주입이라 한다.
- 개발자가 직접 주입하는 형식이라면, @Autowired에 의해서 스프링이 주입을 해준다.
-단일 생성자에 한해 @Autowired를 붙이지 않아도 된다.
IOC
- 제어역전(ioc, inversion of control)
- 개발자가 프레임워크의 기능을 호출하는 형태가 아니라 프레임워크가 개발자의 코드를 호출하기 때문에 개발자는 전체를 직접 구현하지 않고 자신의 코드를 부분적으로
"끼워넣기" 하는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
이는 개발자로 하여금 구현하고자 하는 특정 분야의 기능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다.
- 프레임워크가 객체의 생성, 소멸과 같은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며 스프링으로부터 필요한 객체를 얻어올 수도 있다.
- 객체의 의존성을 역전시켜서 객체 간의 결합도를 줄이고 유연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 하여 가독성 및 코드 중복, 유지보수를 편하게 할 수 있게 한다.
POJO
- plain old java object, 단순한 자바 오브젝트
- pojo란, 객체 지향적인 원리에 출실하면서 환경과 기술에 종속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재활용 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 오브젝트를 말한다.
- 이러한 pojo에 애플리케이션의 핵심 로직과 기능을 담아 설계하고 개발하는 방법을 pojo프로그래밍이라고 할 수 있다.
Component scan
- Component scan의 대상은 Spring이 scan을 하는 대상이 된다.
DI의 3가지 방법
- Field injection(필드 주입)
- Setter injection(수정자 주입)
- Constructor injection(생성자 주입)
JPA
- JPA는 가존의 반복코드는 물론이고 기본적인 sql더 jpa가 직접 만들어서 실행해준다.
-jpa를 사용하면 sql과 데이터 중심의 설계에서 객체 중심의 설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수 있다.
-jpa를 사용하면 개발 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다.
SOLID
-클린코드로 유명한 로버트 마틴이 좋은 객체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을 정리
-SRP : 단일 책임 원칙(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 클 수 있고, 작을 수도 있다.
-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르다.
- 중요한 기준은 변경이다. 변경이 있을 때 파급효과가 적으면 단일 책임 원칙을 잘 따르는 것
-OCP : 개방 - 폐쇄 원칙(open/closed principle)
-확장에는 열려있고 수정/변경에는 닫혀있다.
-LSP : 리스코프-치환원칙(liskov subswtitution principle)
-프로그램의 객체는 프로그램의 정확성을 깨뜨리지 않으면서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어야 한다.
-다형성에서 하위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규약을 다 지켜야 한다는 것, 다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원칙,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를 믿고 사용하려면, 이 원칙이 필요하다.
-단순히 컴파일에 성공하는 것을 넘어서는 엄청난 이야기
-ISP : 인터페이스 분리원칙(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 여러개가 범용 인터페이스 하나보다 낫다
-자동차 인거페이스와 사용자 클라이언트 인터페이스를 분리하면, 서로 수정이 되더라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
-인터페이스가 명확해지고,대체가능성이 높아진다.
-DIP : 의존관계 역전 법칙(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프로그래머는 "추상화에 의존해야지,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쉽게 이야기 하면 구현클래스에 의존하지 않고 인터페이스레 의존하라는 뜻
-구현체에 의존하면 변경이 아주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