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ltimodal_03] Multimodal Abstractive Summarization for How2 Videos(ACL, 2019)

fla1512·2023년 3월 9일
2

Multimodal Study

목록 보기
3/4

2023/03/10일 기준 59회 인용된 논문이다

Abstract

  • open-domain videos에 대한 abstractive summarization 연구

    summarization의 종류: 참고
    extractive summary: passage에 있는 것들(보통 문장)을 뽑아내서 summary 구성
    abstractive summary: 새로운 단어(novel, 원 텍스트에 있지 않은 단어)를 생성하여 summary 구성, 보통 사람한테 summary하라고 하면 나오는 유형

  • 지금까지 연구되온 text news summarization과 달리,

    • 목표는 video, audio transcript(text)를 fluent textual sumary 형태로 제공하기
  • 본 연구에서 입증한 바

    • how a multi-source sequence-to-sequence model with hierarchical attention can integrate information from different modalities into a coherent output, compare various models trained with different modalities and present pilot experiments on the How2 corpus of instructional videos.
    • propose a new evaluation metric (Content F1) for abstractive summarization task that measures semantic adequacy rather than fluency of the summaries, which is covered by metrics like ROUGE and BLEU.

1 Introduction

Background

  • 비디오 공유 플랫폼의 인기가 급상승하면서 온라인에서 사용자가 생성하고 공유하는 구조적인 비디오(user-generated instructional videos shared online)에 대한 인기도 올라갔다
  • 온라인에서 videos가 풍부해져서 -> 관련 있는 비디오를 찾고 회수하는 효율적인 방법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다

기존 연구 Limitation

  • 많은 cross-modal search applications들은 text 관련에 의존한다
    • 예) 관련된 내용을 찾기 위한 description이나 title을 가진 비디오들
  • 하지만 비디오들은 그런 큰 text data가 없기도 하고, 그런 정보들이 비디오 관련해서 명확한 정보를 준다는 보장이 없다

limitation 극복하기 위한 본 논문의 Approach

  • 본 연구에서는 이를 해결하고자, 비디오에 대한 짧은 텍스트 요약문을 생성하고자 한다

    • 요약문은, 비디오의 가장 중요한 내용을 묘사한다
  • 본 연구를 통해 1) 사용자들은 더 좋은 문맥의 정보와 사용자 경험을 얻을 수 있고, 2) 사용자 참여도(user engagement) 또한 올라갈 수 있다(관련 있는 비디오를 잘 회수해준다는 점에서 주목을 이끌기에)

  • summarization은 문서에서 내용의 짧은 버전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summarization의 정보를 보존하는 것은 이미지와 텍스트 모두에서 연구되어 왔다
      • 텍스트: 자동 텍스트 요약
        • NLP에서 많이 연구되는 분야로, 텍스트 문서가 주어지면 텍스트 요약본을 제공하는 것이 목표다
        • 사용자들이 긴 문서를 이해할 수 있도록
        • 지금까지 대다수의 텍스트 요약은 뉴스 같은 분야에서 single-document 요약으로 이루어졌고, 가끔 multi 관련 연구도 있었다
      • 이미지: visual documents(이미지, 비디오) => 비디오 요약
        • 텍스트 + visual 모달리티의 혼합이다
        • 비디오의 내용을 요약해서 -> 텍스트 문서를 얻는다
        • 멀티모달 요약은 아직 bench-marking dataset이 없어서 더 challenge하다
        • Li et al.(2017)은 multimodal corpus를 수집
          • 500개 영어 뉴스 비디오, 기사들이 annotation된 요약으로 manually하게 짝지어지게
          • 해당 데이터셋은 small-scale이고
          •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 요약에 대해서 뉴스 기사가 있지만, 사람이 annotated한 audio-transcripts가 없다
  • 본 연구와 관련있는 task는

    • image/video 캡셔닝, description 생성, 비디오 이야기 생성 등이 있다
    • 그 중, 가장 관련 있는 task는 video title 생성
      • 해당 task는 사용자의 관심을 끌 수 있는(-> 목표) title을 비디오의 중요한 사건에서 포착하는 것
      • Zhou et al.(2018)은 YouCook2 dataset을 제시
        • 설명하는 과정이 담긴 비디오를 포함
          • 특히, 요리 레시피(과정에 대해서 annotation이 이루어짐, temporally localized annotations for the procedure)
          • 그로 인해서 본 과정은 원래 비디오 부분과 절차 간의 시간 배열인데 summarization으로 보일 수도 있다

Method

  • 본 연구에서 multimodal summarization을 연구
    • 다양한 방법들로,
    • open-domain instructional videos의 의도를 요약하기 위해서
    • How2 dataset을 사용
      • 사람이 annotate한 비디오 요약을 포함하는 데이터셋(다양한 종류의 토픽들)
    • 방법: transcriptions와 비디오에서 뽑은 visual features를 사용해서 description을 생성
    • 새로운 evaluation metric(Content F1) 소개
      • 본 task에 적합하며, 해당 task를 이해하기 위한 상세한 결과들을 더 잘 나타냄

2 Multimodal Abstractive Summarization

  • How2 dataset
    • 2000 시간의 짧은 instructional 비디오(여러 분야: 요리, 스포츠, 음악 등)
    • 각 비디오는 사람이 생성한 transcript를 가지고 있으며, 2-3문장의 요약으로 구성
  • 예시
    • summary는 비디오에 대해서 전반적으로 잘 요약함
      • peppers가 “cut”되고 있음을 요약
      • “Cuban breakfast recipe” 이런 단어들의 경우 => transcript에 없는 내용임
    • 텍스트와 비전 모달리티가 정보를 잘 보완하고 있으며 융합되었을 때 더 좋은 요약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다는 사실을 발견
    • (더 나아가) speech 모달리티를 활용함
      • speech recognizer의 output을 요약 모델의 input에 넣어주어서!(원래는 human-annotated transcript를 넣음)
    • How2 corpus
      • 73993 비디오(train), 2965(validation), 2156(test)
      • transcript의 평균 길이: 291 단어
      • 요약: 33 단어

Video-based Summarization.

video에서 sequential features를 어떻게 얻는가에 대한 과정

  • 비디오를 feature로 represent할 때, feature들은 pre-trained action recognition model(ResNeXt-101 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k)에서 추출
    • feature: 2048 차원, 비디오에서 16개의 각 non-overlapping frames에서 추출
  • 결과로 비디오 당 a sequence of feature vectors를 얻는
    • 이 sequential features들은 #3에서 묘사된 model에서 사용

      • ResNeXt-101 3D Convolutional Neural Networ: trained to recognize 400 different human actions in the Kinetics dataset

Speech-based Summarization.

  • 어떻게 쓰는가? : pre-trained speech recognizer에서 output을 사용해서 speech modality를 활용함
    • pre-trained speech recognizer는 text summarization model에서 input으로서 다른 데이터로 훈련됨
  • distant microphone conversational speech recognition을 위해서 SOTA 모델(ASpIRE, EESEN) 사용
    • 해당 모델에 있어서 How2 test data의 word error는 35.4%
      • 데이터에서의 normalization issue에서 생긴 문제임
      • 예를 들어서, '20'을 'twenty'로 인지+라벨링함
      • 해당 부분을 잘 다루면 에러가 줄어들겠지만 본 논문은 이 상황을 그냥 받아들이기로 했다

Transfer Learning.

  • 본 연구와 parallel한 연구인 Sanabria et al.(2019)는 summarization model의 사용을 summarization task를 기반으로 하는 transfer learning에 대해서 입증함
    • Charades dataset은 오디오, 비디오, 텍스트(요약, 캡션, 질문-답변 페어) 모달리티로 구성
      • 해당 데이터는 How2 dataset과 유사함
  • Sanabria et al.(2019)는 Charades dataset을 활용한 task에서 How2 dataset으로 pre-training하고 transfer learning하는 것이 unimodal과 multimodal 적용 task에서 상당한 향상을 보임을 입증함

CMU Sinbad’s Submission for the DSTC7 AVSD Challenge(2019, AAAI)
Audio-Visual Scene-Aware Dialog (AVSD)

  • we first train models on the How2 data and then finetune (FT) them on the Charades dataset.

3 Summarization Models

여러 summarization model을 고려함

    1. Recurrent Neural Network (RNN) Sequence-to-Sequence (S2S) model
    • encoder RNN: attention mechanism으로 enocde(text, video features)하고자
    • decoder RNN: summaries를 생성하고자.
    1. Pointer-Generator (PG) model
    • abstractive summarization에서 좋은 성능을 보임

Pointer Networks(2015, 논문, 논문 정리_민한님)

  • Pointer Net (Ptr-Net) 제시
    • pointer-generator network: 모델 accuracy와 OOV 처리를 위한 pointing(Vinyals et al., 2015)과 새로운 단어 생성을 위한 generator로 이루어져 있음
      • pointing을 통해 단어를 생성하고 generating으로 vocab 내에서 단어를 생성함
    1. Libovický and Helcl 2017의 hierarchical attention approach 사용
    • multimodal machine translation으로서 원래 제안(text를 생성하기 위해서 textual과 visual 모달리티를 결합함)
    • 작동 과정
      • 모델은 처음에 각 input modalities (text/ video)에 대해서 context vector를 독립적으로 계산한다
      • context vectors는 다른 encoder의 states(상태)로 취급되며, 새로운 vector가 계산된다.

Attention Strategies for Multi-Source Sequence-to-Sequence Learning

  • Sequence-to-sequence (S2S) learning with attention mechanism
  • 3.2 Hierarchical Attention Combination
    • concatenation과 유사하게 각 context vector를 독립적으로 계산한다
      • concatenation 대신에 second attention mechanism이 context vectors에 대해서 construct됨
    • attention distribution의 computation을 두 단계로 나눈다
      • 1 compute the context vector for each encoder independently using Equation 3
      • 2 project the context vectors (and optionally the sentinel) into a common space Equation 8
        • we compute another distribution over the projected context vectors (Equation 9)
      • and their corresponding weighted average (Equation 10)
  • 비디오의 경우, single averaged vector 대신에 a sequence of action features들을 쓰면, RNN layer는 context를 포착하는데 도움을 준다

  • Fig2: 모델의 building block

    • sequence-to-sequence 모델에 대한 building block
    • 괄호 안 회색 숫자들은 어떤 실험에서 어떤 구성이 쓰일지를 나타냄

      숫자 의미(Tab1의 모델 숫자)

4 Evaluation

  • 1) abstractive summarization에 ROUGE-L을 사용(표준 metric)
    • reference와 generated summary 간의 가장 긴 흔한 시퀀스(Longest Common subsequence, LCS)를 측정

ROUGE-L 참고

  • ROUGE(Recall-Oriented Understudy for Gisting Evaluation)
    • 텍스트 요약 모델의 성능 평가 지표
    • 텍스트 자동 요약, 기계 번역 등 자연어 생성 모델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지표
    • 모델이 생성한 요약본 혹은 번역본을 사람이 미리 만들어 놓은 참조본과 대조해 성능 점수를 계산
  • ROUGE-L: LCS(Longest common subsequence) 기법을 이용해 최장 길이로 매칭되는 문자열을 측정
  • 2) Content F1 metric 소개
    • that fits the template-like structure of the summaries
    • transcription과 summary에서 가장 잘 나타나는 단어를 분석
      • transcript에 있는 단어들은 대화 같은 즉흥적인 speech인 반면, summaries에 있는 단어들은 현상을 묘사하는 경우(descriptive nature)
    • 예시(Tab A1)

Content F1.

  • 단일언어정렬(monolingual alignment)에 기반을 두는 summaries에서의 content words에 대한 F1 score
    • 단일언어정렬(monolingual alignment)의 질을 평가하기 위해 쓰이는 metric과 유사함
  • 과정
    • 1 METEOR toolkit 사용 -> alignment를 얻음
    • 2 대다수의 요약에서 나타나는 1) function words, 2) task-specific stop words 제거
      • stop words는 예측이 쉬움 -> ROUGE score를 올림
      • reference와 hypothesis에서 남은 content words를 two bags of words로 다루고, 그 배열에 대해서 F1 score를 계산함
      • score가 결과의 fluency를 무시함을 인지해라

Human Evaluation
automatic evaluation외에도, 본 task를 더 잘 이해하고자 시행

  • Grusky et al. (2018)의 abstractive summarization human annotation work를 따름
  • 1-5로 결과를 라벨링함(4개의 metric: informativeness, relevance, coherence, fluency에 기반을 두어서)
    • 이를 test set에서 랜덤으로 샘플링된 500 비디오에서 수행
  • 세 모델을 evaluate함
    • two unimodal (text-only (5a), video-only (7)) 과 one multimodal (text-and-video (8)).
  • Amazon Mechanical Turk에서 세 annotator가 각 비디오를 annotate함
  • 세부사항 A.5
    • ground-truth summary로 세 모델의 결과를 비교하고 점수를 1(최저)-5(최고)로 부여

Ground truth : Ground-truth는 학습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원본 혹은 실제 값을 표현할때 사용

  • the reality you want to model with your supervised machine learning algorithm.
  • also known as the target for training or validating the model with a labeled dataset.

5 Experiments and Results

Experiments
baseline은 크게 세 종류

  • 1 RNN 언어모델
    • 모든 summaries에서 훈련하고 그곳에서 token을 랜덤으로 샘플링함
    • 결과로 얻은 output은 영어에 유창하고, ROUGE score 높음
    • 그러나 내용은 관련이 없어서 Content F1 score가 낮음(Tab1의 Model No.1)
  • 2 target summmary를 rule-based extracted summary(transcript에서의)로 바꿈(Model No.2a)
    • “how to” 단어가 포함된 문장을, learn, tell, show, discuss,explain과 함께 사용했는데 이는 일반적으로 transcript에서 두 번째 문장이다.
  • 3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 Blei et al.,2003)에서 각 비디오의 nearest neighbor의 요약으로 훈련된 모델(Model No.2b)
    • 2번(18.8)과 Content F1 score(17.9)가 유사함
      • content의 유사성을 입증 + Content F1 score의 유용함을 입증

Results
transcript(ground-truth transcript와 speech recognition output)와 video action feature를 사용해 -> 다양한 모달리티의 결합으로 여러 모델을 훈련함

  • 1 text-only model은 인풋(650토큰)에서 완전한 transcript를 사용했을 때 가장 좋은 결과를 거둠
    • 이는 news-domain summarization 관련 이전 연구와 반대다
  • 2 해당 데이터에서 PG network(5b)가 S2S model(5a)만큼 잘하지 못함을 발견
    • 이유
      • 1) abstractive nature of our summaries
      • 2) 인풋과 아웃풋 간의 common n-gram overlap의 부족(PG networks에서 중요한 요소임)
  • 3 pretrained automatic speech recognizer에서 얻은 automatic transcriptions를 summarization model의 input으로서 사용(5c)
    • 해당 모델은 video-only models(6-7)와 유사한 결과를 가져왔다
    • ground-truth transcription summarization model보다는 현저히 낮다
    • 이는 예상된 결과다 -> ASR errors의 큰 margin때문에(distant-microphone open-domain speech recognition에서)
  • two video-only models(6-7) 훈련
      1. entrie video를 위해 single mean-pooled feature vector representation을 사용
      1. 시간에 대해서 vector 별로 single layer RNN을 적용
  • 인풋에서 action features만을 쓰는 것(7)이 text-only model과 비교했을 때 ROUGE와 Content F1 score에서 유사한 결과를 가져오는데 -> 이는 해당 task에서 modality 둘 다의 중요성을 입증한다
  • 마지막으로 hierarchical attention model(8, 두 모달리티를 결합하는)은 높은 점수를 얻는다

Tab2 해석

  • text-only, video-only, multimodal models에서 최고 성과를 거둔 human evaluation의 결과다
  • 세 evaluation measures에서 hierarchical attention이 있는 multimodal models가 최고점을 얻었다
  • appendix에 모델 하이퍼파라미터 환경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있다

Fig3 해석

해당 피규어를 어떻게 해석하는 것일까?

  • 요약의 평균 길이가 33단어인데, 33 정도에서 density의 curve가 0.06보다 조금 작게 가장 높다, 결국 해당 커브를 다 칠하면 1이 나와야 되는데 600.25=0.15, 0.157=1.05 => 7가지 모델에서의 density를 다 더해주었을 때 그 합이 1이 되는 것 같다

  • 다른 유니모달, 멀티모달에 대해서 human summaries에 대한 단어 분포 비교
  • Density curve: human annotated와 system produced summaries에 대한 길이 분포를 나타냄
  • human annotated reference로 생성된 요약의 다양한 시스템을 활용해, 단어 분포를 분석
    • density curve의 경우, 대다수의 모델들이 human annotations가 있는 action-only model(6)보다 짧음을 보임
    • groundtruth text와 ASR이 있는 uni-modal 그리고 multimodal들은 길이가 유사함
      • 이는 Rouge-L과 Content F1 score의 상승이 길이가 아닌 content에서 기여했음을 보임
  • Tab A.2는 어떻게 결과가 다른지를 보여줌
    • Tab A.2: text-only, text-and-video models로부터의 다양한 결과
  • text-only: reference와 유사한 유창한 결과 도출
  • action features가 있는 RNN model
    • 인풋에서 없었던 text를 생성
    • in-domain(“fly tying”’ and “fishing”) abstractive summary
      • equipment 같은 더 세부사항을 포함(text-based models에서는 없지만 연관된)
  • action features가 없는 RNN model
    • relevant domain에 포함되지만 더 적은 세부사항을 포함함
  • nearest neighbor model
    • "knot tying"과 연관이 있지만 "fishing"과 연관

6 Conclusions

  • How2data에서 abstractive text summaries를 생성하는 여러 baseline model을 제시
  • 제시하는 모델은 video-only summarization model을 포함
    • text-only model이랑 비슷한 결과임(경쟁력 있음)
  • 향후 연구로, multi-document(multi-video) summaries 생성하기 + 비디오에서 end-to-end models로 바로 오디오 만들기
  • 새로운 metric Contenct F1을 제시
    • 비디오 요약의 evaluation으로서

후속연구:

  • MAST: Multimodal Abstractive Summarization with Trimodal
    Hierarchical Attention(EMNLP, 2020)

7 논문 후기

  • 좋았던 점
    • 깔끔하고 읽기 편하게 정리된 논문인 것 같다
  • 아쉬웠던 점
    • 유사 연구로 언급된 Sanabria et al.(2019)와 달리 본 논문에서 강조하고자 하는 차별점이 무엇인지 좀 더 명확히 설명해주었더라면 좋았을 것 같다 => 어떤 부분에서 contribution이 있는가에 대한 정리가 있거나
      • 논문을 읽고 떠오른 것은 Content F1 지표 제시, human annotation 진행
    • Pointer-Generator (PG) model에 대한 설명이 없었던 부분, short paper이어서 그런지 다른 사용한 모델에 대한 설명들이 전반적으로 적었다

2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3월 15일

고민의 흔적들이 보여서 발전된 모습이 아주 좋았습니다!!!!!! summarization 모델의 백그라운드 설명이 있으면 더 좋을것 같습니당 !최고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3월 15일

video summarization은 생각도 못했는데, IR의 관점에서 매우 유익해보여요! 추후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아요!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