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 파일에 작성하여 Managed Server를 생성해봤다.
이번엔 WebLogic Console에서 Managed Server를 생성해보려고 한다.
startWebLogic.sh를 실행하여 console에 접속한다.

[환경]-[서버]로 이동한 후 [새로 만들기]로 이동한다..

Managed Server에 대한 정보를 입력한다.

새로운 Managed Server가 생성됐다.

Managed Server를 기동하기 위해
/home/gyul/Study/WLS/wls12/domains/gyul12domain/bin 로 이동한다.
startManagedWebLogic.sh를 실행한다.
[gyul@localhost bin]$ pwd
/home/gyul/Study/WLS/wls12/domains/gyul12domain/bin
[gyul@localhost bin]$ ./startManagedWebLogic.sh gyul12_1
username과 password를 요구하면 차례로 입력한다.
Enter username to boot WebLogic server:gyul12admin
Enter password to boot WebLogic server:
AdminServer와 마찬가지로 기동 로그에서 RUNNING을 확인한다.
<Jan 3, 2023 4:50:12,873 PM KST> <Notice> <WebLogicServer> <BEA-000360> <The server started in RUNNING mode.>
<Jan 3, 2023 4:50:12,945 PM KST> <Notice> <WebLogicServer> <BEA-000365> <Server state changed to RUNNING.>
Console에서 새로고침 하면 해당 서버 기동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yul12_1)

같은 방법으로 gyul12_2 서버도 기동할 수 있다.
추후 설정할 로드밸런싱을 위해 Cluster를 생성한다.
[환경]-[클러스터]로 이동한다.

생성하고자 하는 Cluster의 정보를 입력한다.

Cluster에 서버를 지정하기 위해 생성된 Cluster로 이동한다.

[구성]-[서버]로 이동 후 하단으로 내려 서버를 지정해준다.

클러스터에 gyul12_1과 gyul12_2 서버가 포함된 것을 볼 수 있다.

통계게시글 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