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젝트 소개
📝 프로젝트 주제
서울시, 생활정보기반 대중교통수요분석 (버스노선추가가 필요한 서울시 내 자치구 선정)
🚗 프로젝트 배경
주어진 데이터의 정보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분석하여 서울시 내 버스노선 추가가 필요한 자치구를 선정하여 버스노선을 추가함으로써 사람들의 편의를 증진시키고자 한다.
사용 데이터 및 기술
📌 데이터 : https://data.seoul.go.kr/ (서울시 공공데이터 포털)
✅ 기술스택 : python
가설 수립
가설 1 : X : 자치구 → Y : 전체인구대비 버스이용승객비율
H0 : 자치구별 인구수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없을 것 이다.
H1 : 자치구별 인구수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있을 것 이다.
가설 2 : X : 자치구 → Y : 총 버스이용 승객 수 대비 정류장의 개수
H0 : 이용객 수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없을 것 이다.
H1 : 이용객 수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있을 것 이다.
가설 3 : X : 자치구 → Y : 정류장 대비 노선의 개수
H0 : 정류장의 수와 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없을 것 이다.
H1 : 정류장의 수와 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있을 것 이다.
가설 4 : X : 주점 종사자수 → Y: 정류장 수
H0 : 주점 종사자와 정류장 수는 관계가 없을 것 이다.
H1 : 주점 종사자와 정류장 수는 관계가 있을 것 이다.
가설 5 : X : 유출 인구 → Y: 정류장(노선)의 개수
H0 : 유출인구가 많은 자치구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없을 것 이다.
H1 : 유출인구가 많은 자치구와 정류장(노선)의 개수는 관계가 있을 것 이다.
분석 과정 (일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