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우드 엔지니어가 꼭 다루어야하는 "IaC" 정리하겠습니다.
IaC 는 Infrastructure as Code,
즉 "인프라를 코드처럼 다룬다" 는 개념입니다.
원래 서버를 만들고, 네트워크를 설정하고, 방화벽을 여는 등의 작업은 콘솔 클릭이나 수동 셋팅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하지만 IaC를 쓰면 이 모든 과정을 스크립트처럼 코드로 작성해서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설정의 실수를 방지하고, 재현 가능하고 버전관리가 가능합니다. 환경마다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문서화할 필요가 없습니다. 왜? -> 코드 = 문서
✅ 핵심은 자동화와 일관성입니다.
IaC를 실현할 수 있는 툴은 많지만, Terraform이 가장 널리 사용됩니다.
도구 | 특징 |
---|---|
Terraform | 멀티 클라우드 지원, DevOps/SI업계 필수 |
AWS CloudFormation | AWS 전용, JSON/YAML |
Ansible | 설정관리(CM)에 강점 |
Pulumi |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Python, TS 등) |
실무에서는 Terraform이 거의 기본이라, Terraform부터 배우는 걸 추천드립니다.
Terraform을 활용하면 다음과 같은 인프라 리소스를 코드 한 줄로 만들 수 있습니다.
IaC는 단순히 코드로 끝나지 않습니다.
IaC는 클라우드 시대의 기본기입니다.
처음엔 생소할 수 있지만, 한번 익혀두면 업무의 생산성과 정확성이 압도적으로 올라갑니다.